트럼프 "틱톡 죽게 둘 수도, 아닐 수도"…매각시한 또 연장할 듯

미·중 무역협상 테이블에 틱톡 등장…추천 알고리즘 매각 승인 문제로 진통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 바이트댄스가 보유한 동영상 플랫폼 '틱톡'의 미국 법인 매각 혹은 서비스 중단 시한(9월 17일)을 또다시 연장할 것으로 보인다고 로이터 통신이 소식통을 인용해 1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연방 법 집행을 유예한 네 번째 사례로, 해당 법은 바이트댄스가 올해 1월까지 틱톡을 매각하거나 미국 내 서비스를 종료하도록 규정한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1월 20일 두 번째 임기를 시작한 직후 이를 75일간 유예한 뒤 4월과 6월까지 모두 3차례 유예해 9월 17일로 시한을 연장한 상태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8월에도 "미국 내 인수자가 준비돼 있다"며 추가 연장 가능성을 시사했었다. 로이터에 따르면 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기자들과 만나 "틱톡을 죽게 내버려 둘 수도 있고(let it die) 아닐 수도 있다. 중국에 달렸다. 아이들을 위해서라면 하고 싶다(I'd like to do it for the kids)"고 말하며 입장을 명확히 하지 않았다.

만약 연장이 확정된다면 트럼프 행정부가 미국 내 1억 7000만 명이 사용하는 틱톡앱을 폐쇄하는 데 주저하는 모습으로 해석될 수 있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워싱턴의 대중 강경파들은 틱톡이 미국인을 감시하거나 협박, 검열하는 데 악용될 수 있다고 우려해 왔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앱을 살리고 싶다는 입장을 밝혀왔다.

틱톡의 핵심 기술인 추천 알고리즘을 미국 인수자에게 공유하려면 중국 정부의 승인이 필요해 협상은 지지부진한 상태다. 올봄 틱톡 미국 사업부를 미국 투자자들이 운영하는 별도 법인으로 분리하는 방안이 논의됐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산 제품에 고율 관세를 발표한 이후 중국이 승인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내비치면서 협상이 중단됐다.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무역대표부(USTR) 대표는 14일 스페인에서 중국의 허리펑 부총리, 리청강 무역대표와 회담을 시작했다. 이번 회담에서 틱톡 문제도 논의될 예정이지만 마감시한인 9월 17일 이전에 합의가 이뤄질 가능성은 낮다고 로이터 소식통은 전했다.

틱톡은 제네바, 런던, 스톡홀름에서 열린 이전 미중 무역협상에서는 의제로 다뤄지지 않았다. 하지만 이번 회담에서는 공식 의제로 포함돼 트럼프 행정부가 시한 연장에 대한 정치적 명분을 확보한 것으로 보인다. 틱톡 매각을 법으로 의무화한 공화당과 민주당 모두의 불만으로 인해 의제에 포함된 것으로 보인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애틀 뉴스/핫이슈

한인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