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우논객' 암살에 美 해고 행렬…"운명 자초" 글에 보수 벌떼 공격

비판자 실명 거론 방안 제안…국무부 부장관 "외국인도 처벌"

'제보 사이트'도 개설…"현재까지 3만건 접수" 주장


미국의 보수 청년 단체 터닝포인트USA 설립자 찰리 커크 암살 사건 이후, 그의 죽음과 관련한 발언이 문제가 돼 직장에서 해고되는 사레가 잇따르고 있다.

13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CNN 등에 따르면 로라 소시-라이트시 미들테네시주립대(MTSU) 학생처 부학장이 페이스북에 "찰리 본인이 운명을 자초한 것 같다. 증오는 증오를 낳고, 연민은 전혀 없다"는 글을 적었다가 해고당했다.

이에 앞서 정치평론가 매슈 다우드가 MSNBC에서 "우리는 아직 사건의 세부 사항을 모른다. 누군가 총격 이후에 환호하며 축포를 쏘았을 수도 있다"며 "커크는 가장 분열적인 인물 중 하나"라고 발언했다가 해고당했다.

레베카 쿠틀러 MSNBC 사장은 X(구 트위터)에 올린 성명에서 "부적절하고 무감각하며 용납할 수 없는 발언"이라며 "미국에는 정치적 폭력을 포함, 그 어떤 폭력도 설 자리가 없다"고 강조했다.

이외에도 이스트테네시주립대 교수 2명, NFL(미국 미식축구리그) 홍보 직원, NFL 캐롤라이나 팬서스 직원, 지역 기반 소셜미디어 서비스 '밀워키 넥스트도어' 직원, 신시내티의 한 바비큐 식당 공동소유자, 연방재난관리청(FEMA) 데이터분석가, 매사추세츠·아이오와주의 교사 등이 커크를 비판하는 내용의 발언으로 징계를 받거나 해고됐다.

주 정부 직원들은 정치적 발언으로 해고·징계당하지 않도록 수정헌법 제1조의 보호를 받지만 제한이 따른다. 또한 이번 사건 관련 발언으로 해고된 직원들이 법적 대응을 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한 주는 극히 일부다.

미 전역에서 잇따르는 해고 조치는, 주로 보수 정치인이나 논객들이 비판 게시물을 확산시키며 고용주들에게 처벌을 요구한 뒤 이루어졌다. 여기에 크리스토퍼 랜도 국무부 부장관은 X를 통해 외국인 사례 제보까지 요청했다.

사적 제재 목적을 암시하는 웹사이트도 개설됐다. '찰리를 죽인 자들을 폭로하라'(Expose Charlie’s Murderers) 측은 개설 후 커크 피살과 관련해 비판적인 발언을 한 사례 약 3만 건의 제보를 받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일부 인사들은 살해 위협을 받기도 했다.

이와 관련해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기업이 선제적 조치에 나섰다는 분석과, 가상의 집단을 대상으로 한 정치적 보복에 불과하다는 지적이 함께 나오고 있다.

카렌 노스 USC 애넌버그스쿨 디지털 미디어학 교수는 "기업들은 직원의 발언이 평판·주가·매출에 끼칠 막대한 영향을 깨닫고 있다"며 "사람들의 발언은 소속 회사를 대표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표현의 자유는 공적인 광장에서 보장되지, 사기업 내에서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제이슨 솔로몬 노동권연구소 소장은 "우파 활동가들은 소셜미디어를 활용해 개인과 고용주를 조직적으로 공격하고, (발언을 한) 이들을 계속 고용하는 것이 평판(유지)에 큰 비용이 드는 것처럼 만들거나 실제 비용을 발생시킨다"고 지적했다.

휘트니 필립스 오리건대 정보정치·윤리학 조교수는 "커크의 삶을 비판한 사람들을 지목하려는 시도는 허구의 문화전쟁 프레이밍으로 이어진다"며 "연결성이 없는 집단들이 보수주의자들의, 나아가 미국의 영적인 적으로 인식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애틀 뉴스/핫이슈

한인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