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 이어 아마존도 '엔비디아 중국 수출 제한' AI 법 지지"

WSJ "고객이 엔비디아에 반대 의사 표명 드물어"

 

마이크로소프트에 이어 아마존웹서비스가 엔비디아의 중국 수출을 더욱 제한할 수 있는 법안을 지지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WSJ에 따르면 '게인 AI법(Gain AI Act)'은 반도체 회사가 중국이나 기타 무기 금수 대상 국가에 제품을 보내기 전에 먼저 미국의 수요를 충족하도록 하는 게 핵심이다.

마이크로소프트는 게인 AI법을 공개적으로 지지하고 있다. 경쟁사 대비 잠재적으로 우위를 점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칩에 대한 접근권을 우선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데다, 중동 같은 지역에 칩을 보낼 때 정부 승인을 받지 않도록 하고 있어 허가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WSJ은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아마존 클라우드 사업부 측이 비공식적으로 게인 AI법을 지지한다고 밝혔다고 전했다.

엔비디아·아마존·구글의 칩을 사용하는 대표적인 AI 모델 개발사인 앤트로픽 또한 게인 AI법을 지지하고 있다고 WSJ은 덧붙였다.

하지만 엔비디아는 게인 AI법이 더 많은 수출 제한의 문을 열 수 있는 반도체 시장에 대한 불필요한 개입이 될 수 있다며 반대하고 있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올해 1~3분기 로비 비용을 약 350만 달러(약 51억 원)로 전년 전체 비용 대비 5배 이상 늘리며 대응하고 있다.

WSJ은 "고객이 엔비디아에 공개적으로 반대 의사를 표명하거나 반대 정책 입장을 취하는 경우는 드물다"고 짚었다.

세계 최대 기술 기업인 아마존과 마이크로소프트가 게인 AI법을 지지하면 명분이 더 강화될 수 있다.

의회는 게인 AI법을 국방수권법(NDAA) 수정안으로 포함할지 여부를 검토 중이다. 국방수권법은 통상 연말까지 대통령의 승인을 받을 수 있다.

리서치 자문 회사인 퓨처럼 그룹의 레이 왕 애널리스트는 "거대 기술 기업과 엔비디아 간 긴장은 일반적으로 제품 자체와 가격 문제에서 비롯된다"며 "현재 갈등은 더욱 복잡해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애틀 뉴스/핫이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