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美경제, 관세가 인플레 위험 요인…금리 인하 신중해야"

"내수 수요 둔화하고 고용 증가 느려져…일부 균열"

"연초 선제적 수입 증가, 상반기 경제 활동 변동성 야기"


국제통화기금(IMF)이 관세를 인플레이션의 상방 위험 요인으로 꼽으며 미 연방준비제도(Fed)가 금리 인하를 신중하게 진행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11일(현지시간) 로이터에 따르면 줄리 코작 IMF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지난 몇 년 동안 미국 경제는 상당한 회복력을 보여 왔지만 지금은 일부 균열이 나타나기 시작했다"며 "내수 수요가 둔화하고 있고 고용 증가도 느려지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연초 관세를 예상한 선제적 수입 증가가 상반기 경제 활동에 변동성을 야기했고, 현재 관세가 인플레이션 위험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한다"며 "연준이 금리를 인하할 여지가 있다고 보지만 새로운 데이터에 유념하며 신중히 진행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지난 9일 미국 정부의 연례 고용 통계 수정 발표와 관련해서는 "역사적 평균보다 다소 큰 편"이라면서도 "이런 수정은 통계적 요인, 응답·조사 오류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11월 예정된 IMF의 미국 경제 검토에서 논의될 것"이라고 말했다.

미 노동통계국(BLS)은 2024년 4월부터 2025년 3월까지 12개월간 실제 신규고용이 기존 추정치보다 91만 1000명 적었다고 발표했다.

로이터는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공격적인 관세를 부과하기 전부터 고용 증가가 둔화하고 있었음을 시사한다"고 분석했다.

한편 코작 대변인은 미국 통계의 신뢰에 대한 질문에 직접 답변을 피하고 "IMF는 모든 회원국으로부터 정확하고 시의적절하며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강력히 지지한다"며 "이러한 데이터 투명성은 모든 국가의 경제 관리 신뢰성을 강화한다"고만 답했다.

앞서 지난 5월과 6월 고용 수치가 대폭 하향 조정되자 트럼프 대통령은 에리카 맥엔타퍼 노동통계국장이 '데이터를 조작했다'고 주장하며 해임했다. 후임자로는 보수 성향의 헤리티지재단 수석 이코노미스트 E.J. 안토니를 지명했다.

노동부 감사관실은 노동통계국이 최근 농업 외 고용 수치를 대폭 하향 수정하고 물가 데이터 수집을 축소한 이후 경제 데이터 수집·보고 과정에서의 문제를 점검하겠다고 밝혔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애틀 뉴스/핫이슈

한인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