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개미들 이젠 영끌해서 주식투자…위험천만"-블룸버그

한때 내 집 마련을 위해 영끌(영혼까지 끌어 모은다는 뜻)했던 한국 개미들이 이제는 주식 투자를 위해 영끌하고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20일(현지 시각) 보도했다.

특히 한국 개미들이 영끌한 뒤 고위험 고수익 투자를 감행해 자산시장 버블이 붕괴할 경우, 위험천만하다고 블룸버그는 지적했다.

이른바 ‘빚투’(빚을 내 주식에 투자하기)가 5년 전보다 3배로 급증했다.

한국 개미들은 단기에 돈을 벌기 위해 영끌한 자금을 투기성이 높은 레버리지 펀드에 투자하고 있다. 한국 개미들이 미국의 레버리지 상장지수펀드(ETF) 총자산의 40%를 차지할 정도다.

이뿐 아니라 대표적인 위험자산인 암호화폐(가상화폐) 투자에도 열을 올리고 있다.

한국의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비트코인보다 위험성이 높은 알트코인(비트코인 이외의 코인)은 전체 거래량의 80% 이상이다.

이는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이 전체 거래량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글로벌 거래소와 극명한 대조를 이룬다.

한국의 개미들이 단기간에 돈을 벌기 위해 위험을 감수하고 ‘몰빵’하고 있는 것이다.

ⓒ News1 DB ⓒ News1 DB

한국 개미들이 모든 위험을 감수하는 것은 단 하나의 목적, 내 집 마련을 위해서다.

그런데 최근 이재명 정부가 주택담보대출(모기지) 기준을 올리는 등 부동산 억제책을 내놓아 내 집 마련의 꿈이 더욱 멀어지자 개미들이 더욱 리스크를 감수하고 있다.

그러나 이같은 투자는 버블이 붕괴하면, 막대한 손실을 떠안아야 한다.

인공지능(AI) 열풍 등으로 세계 주요 증시는 연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 그러나 AI 붐이 언제까지나 지속될 수는 없다.

버블이 붕괴할 경우, 한국 개미들은 특히 취약하다. 버블 붕괴는 한국 개미들의 투기적 베팅을 무너트려 손실을 증폭시킬 것이기 때문이다.

개미들이 큰 손실을 입으면, 이는 개인 신용 문제와 소비 감소로 이어져 국가 경제 전체에 악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한국 개미들은 투자를 장기적 계획이 아니라 마치 오징어 게임 같이 도박처럼 하는 경우가 많다고 블룸버그는 지적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애틀 뉴스/핫이슈

목록
목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