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지검장·광주고검장 줄사의…'항소 포기 항명' 징계 검토에 반발

'노만석 후임 언급' 송강 고검장, 박재억 지검장 이어 사표
집단성명 낸 검사장 강등 검토 소식에 '줄사표' 이어질수도

 

대장동 1심 사건 항소 포기 사태의 후폭풍이 거세지면서 박재억 수원지검장(사법연수원 29기.사진)에 이어 송강 광주고검장(사법연수원 29기)도 사의를 표명했다.

법무부가 대장동 항소 포기에 반발한 검사장들을 평검사로 강등하는 방안을 검토하면서 검찰 고위 간부의 '줄사표'가 현실화할지 법조계는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17일 법조계에 따르면 송 고검장은 이날 대검찰청과 법무부에 사의를 표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송 고검장은 항소 포기 사태에 책임을 지고 사의를 표명한 뒤 지난 14일 퇴임한 노만석 전 검찰총장 대행(대검 차장검사)의 후임자로도 거론된 인물이다.

송 고검장은 지난주 임기 당시 노 전 대행에게 "항소 포기 경위를 설명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외압 의혹을 키울 것"이라는 취지의 의견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송 고검장과 노 전 대행, 박 지검장은 사법연수원 29기 동기다.

법조계에서는 송 고검장·박 지검장 등 고검장급 및 검사장급 간부들이 경위 설명과 용퇴를 요구한 것이 노 전 대행의 사퇴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고 있다.

박 지검장도 이날 법무부에 사의를 표명한 사실이 알려졌다. 그는 지난 10일 전국 검사장 17명과 함께 검찰 내부망(이프로스)에 올린 '검찰총장 권한대행께 추가 설명을 요청드립니다'라는 제목의 입장문에 이름을 올렸다.

박 검사장 등은 노 전 대행에게 "(정진우) 서울중앙지검장은 수사·공판팀에 항소 포기를 지시한 다음 날(8일) 사의를 표명하면서 명백히 항소 의견이었으나 검찰총장 권한대행의 항소 포기 지시를 존중해 최종적으로 수사 공판팀에 항소 포기를 지시했으며 권한대행을 상대로 항소 의견을 관철하지 못한 책임을 지고 사직한다는 입장을 밝혔다"면서 "노 대행이 밝힌 입장은 항소 포기의 구체적인 경위와 법리적 이유가 전혀 포함돼 있지 않아 납득이 되지 않는다"고 추가 설명을 요구했다.

앞서 노 전 대행은 지난 9일 "대장동 사건은 통상의 중요 사건처럼 법무부의 의견도 참고한 후 해당 판결의 취지 및 내용, 항소 기준, 사건 경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항소를 제기하지 않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했다"면서 "이는 검찰총장 대행인 저의 책임하에 중앙지검장과의 협의를 거쳐 숙고 끝에 내린 결정"이라고 밝혔다.

이에 박 검사장 등은 "항소 포기의 구체적인 경위와 법리적 이유가 전혀 포함되어 있지 않아 납득이 되지 않는다"면서 "일선 검찰청의 공소 유지 업무를 책임지고 있는 검사장들은 권한대행께 항소 포기 지시에 이른 경위와 법리적 근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다시 한번 요청드린다"고 적었다.

하지만 정부와 여당에서는 노 전 대행의 사퇴를 촉발한 이 같은 설명 요구를 검사들의 집단 항명으로 규정하고 징계를 추진하면서 논란이 제기됐다.

정부는 항소 포기 결정에 대해 집단행동에 나선 검사장들을 평검사로 전보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검찰 내부 반발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검사를 파면할 수 있는 내용의 검찰청법 개정안과 검사징계법 폐지안을 발의했다.

박 검사장의 이번 사의 표명은 항소포기 논란과 관련해 후배 검사장들을 대표해 가장 선임인 본인이 나선 것으로 해석된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N 제휴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뉴스포커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