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서 내 집 마련, 월급 전액 모아도 14년…수도권 평균 8년 8개월
- 25-11-17
전국 생애 첫 내 집 마련 소요 기간 평균 7.9년, 2023년보다 2개월↑
자가점유율 청년 12.2%·신혼 43.9%…전년 대비 각각 2.4·2.5%p↓
서울에서 내 집을 마련하려면 연소득을 한 푼도 쓰지 않고 약 14년을 꼬박 모아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전체 기준으로는 평균 8년 8개월이 걸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적으로 생애 첫 내 집을 장만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7.9년으로, 2023년(7.7년)보다 약 두 달 늘어났다.
국토교통부가 16일 발표한 '2024년도 주거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번 조사는 전국 표본 6만1000가구를 대상으로 면담 방식으로 진행됐다.
자가가구의 연소득 대비 주택가격 비율(PIR)은 전국 6.3배(약 6년 4개월)로 전년과 동일했다. PIR은 월급을 한 푼도 쓰지 않을 때 집을 마련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한다.
서울 자가 가구 PIR은 13.9배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고, 세종 8.2배, 경기 6.9배, 대구 6.7배, 인천 6.6배 순이었다. 수도권 전체 PIR은 8.7배(약 8년 8개월)로 조사됐으며, 광역시는 6.3배, 도지역은 3.7배에서 4.0배로 올랐다.
임차가구의 월소득 대비 월임대료 비율(RIR)은 중위값 기준 15.8%로 전년과 동일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18.4%로 2023년(20.3%) 대비 낮아졌으며, 광역시(15.3→15.2%)와 도지역(13.0→12.7%)도 소폭 감소했다.
1인당 주거면적은 36.0㎡(약 10.9평)로 전년과 같았다. 반면 최저주거기준 미달 가구 비율은 3.8%로 0.2%포인트(p) 증가했다.
전국 자가보유율은 61.4%로 전년 대비 0.7%p 올랐다. 지역별로는 도지역(69.4%), 광역시(63.5%), 수도권(55.6%) 순으로 높았고, 모든 지역에서 상승했다.
자가에 실제 거주하는 비율(자가점유율)은 58.4%로 전년 대비 1.0%p 증가했다. 수도권 역시 52.7%로 소폭 올랐다.
전체 가구의 점유 형태는 자가 58.4%, 임차 38.0%, 무상 3.6%였다. 임차 비율은 수도권에서 44.4%로 가장 높았다.
가구주로 독립한 후 생애 첫 집을 장만하기까지 걸리는 기간은 7.9년으로 전년(7.7년) 대비 2개월 늘었다
평균 주택 거주기간은 8.4년(전년 대비 5개월 증가)으로 나타났다. 자가가구는 11.5년, 임차가구는 3.6년으로 조사돼 주거 정착 기간도 늘어나는 추세다.
수도권에서 연소득을 한 푼도 쓰지 않고 내 집을 마련하려면 평균 8년 8개월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전국적으로 생애 첫 내 집을 마련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평균 7.9년으로, 2023년(7.7년)보다 약 두 달 늘어났다. 국토교통부는 16일 이러한 내용을 담은 '2024년도 주거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는 전국 표본 6만 1000가구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 News1 김지영 디자이너
최근 2년 내 이사한 가구 비율(주거이동률)은 30.3%로 1.9%p 하락했다. 이동률은 수도권이 33.4%로 가장 높았다.
이사 이유는 △시설·설비 개선(47.2%) △직주근접(30.6%) △교통 편리(25.5%) 순이었으며, 비자발적 이사 원인으로는 △계약 만기(18.1%) △집값 부담(8.3%) △재개발·재건축(3.7%)이 꼽혔다.
전체가구 중 주거지원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가구는 38.2%로 전년인 2023년 40.6% 대비 2.4%p 감소했다.
가장 필요한 주거지원프로그램으로는 △주택구입자금 대출지원(32.0%) △전세자금 대출지원(27.8%) △월세보조금 지원(12.2%) △장기공공임대주택 공급(10.9%) 순으로 높았다.
점유형태별로 보면 자가가구는 주택구입자금 대출지원(52.6%), 전세가구는 전세자금 대출지원(43.3%)을 가장 필요한 주거지원 프로그램으로 응답했다.
청년가구와 신혼부부의 자가점유율은 각각 14.6%에서 12.2%로, 46.4%에서 43.9%로 감소했다. 고령가구의 자가점유율은 75.7%에서 75.9%로 소폭 증가했다.
청년 가구의 자가가구 PIR은 6.0배로 2023년과 동일했고, 임차가구 RIR은 16.0%로 1.4%p 감소했다. 최거주거기준 미달 청년가구 비중은 8.2%로 2.1%p 늘었다.
신혼부부의 자가가구 PIR은 6.0배로 5.9배 대비 증가했고, 임차가구 RIR은 17.7%로 0.6%p 감소했다. 최저주거기준 미달 신혼부부 가구 비율은 2.5%로 0.7%p 증가했다.
고령가구의 자가가구 PIR은 9.1배로 9.2배 대비 소폭 감소했으며, 임차가구 RIR도 25.4%로 3.7%p 줄었다. 최거주거수준 미달가구가구 비율은 2.1%로 0.4%p 줄었다.
미혼가구의 결혼 시 주거 여건을 묻는 질의에는 '아파트의 전세' 거주가 41.7%로 가장 높았다. 그 뒤를 아파트에 자가 거주(37.5%), 다세대주택에 전세 거주(5.4%), 연립주택에 전세 거주(3.1%)가 이었다. 결혼 시 적정 주거면적에는 75.8㎡는 돼야 한다고 응답했다. 결혼할 때 가장 필요로 하는 주거 지원은 주택구입 대출(55.3%)을 꼽았다.
서울 아파트 모습.(자료사진) 2025.11.6/뉴스1 ⓒ News1 이광호 기자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뉴스포커스
한인 뉴스
- 미국 입국하다 억류됐던 '영주권'한인과학자 4개월만에 석방
- 오레곤벧엘장로교회 이치영 집사 별세
- [시애틀 재테크이야기] 행복한 은퇴를 꿈꾸며(하)
- [시애틀 수필- 박보라] 악어로 변신
- [신앙칼럼-허정덕 목사] 미래와 희망을 주시는 하나님
- [서북미 좋은 시-김순영] 스카프
- [신앙칼럼-최인근 목사] 인생이란 무엇인가?
- 이병민 변호사 모친 이종애 권사 별세
- 이병민 변호사 모친 이종애 권사 별세
- 워싱턴주 한인미술인협회 새 회장에 에밀리 원씨
- 벨뷰통합한국학교 ‘한글책 나눔 행사’ 개최
- “부동산인의 밤에 많이 참석해주세요”
- 워싱턴주 노동산업부(L&I) 한인대상 노동법세미나 연다
- [하이킹 정보] 워싱턴주 시애틀산악회 15일 토요산행
- [하이킹 정보] 시애틀산우회 15일 토요합동산행
- [하이킹 정보] 워싱턴주 대한산악회 15일 토요산행
- "변호사 도움 필요하신 분 오늘 세미나 참석하세요"
- 시애틀 한인마켓 주말쇼핑정보(2025년 11월 14일~11월 20일)
- 대형 아시안그로서리 체인 T&T 린우드점도 오늘 문열었다
- 시애틀대학 농구팀 여준석, 17점 폭발했다
- <속보>시애틀 형제교회 전도사 횡령액수는 현재까지 110만달러
시애틀 뉴스
- '시애틀 맘다니' 케이티 윌슨 시장 당선에 미 전역 관심 집중
- 시애틀 공원 3곳, 안전 문제로 연말까지 폐쇄된다
- 유명 시혹스선수, 디자이너로 변신해 ‘나이트 채플’ 선보이다
- 시애틀 경찰, 오로라 성매수남 경고장 발송한다
- 시혹스 전설 ‘디 인포서’ 케니 이슬리 별세
- 레드몬드 경찰, 차량인식 오류로 억울한 주민 체포했다
- 킹카운티 워싱턴주 정부 상대로 소송나섰다-이유는?
- 워싱턴주 유명 콘서트장 살인 용의자 앨라배마서 체포
- 시애틀 매리너스 칼 랄리, AL MVP 아쉽게 놓쳐
- "MS 이어 아마존도 '엔비디아 중국 수출 제한' AI 법 지지"
- "머스크 보고 있나" 베이조스 블루오리진, 화성탐사선 발사
- 시애틀 인기 브런치 맛집 ‘스키릿’ 3곳 문닫는다
- 대형 아시안그로서리 체인 T&T 린우드점도 오늘 문열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