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탓 '밉상 국가' 됐다…미국인들 "캐나다인인데요" 해외서 거짓말
- 25-09-19
2000년대 아프간·이라크 전쟁 시기도 유행했던 방식
'51번째 주 조롱' 캐나다 "우리가 예비 여권이냐" 싸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백악관 복귀 이후 반미(反美) 감정이 고조되어 가자 미국인 여행객들이 이웃 나라 캐나다인으로 가장해 마찰을 피하는 경향이 늘고 있다.
18일(현지시간) CNN에 따르면 최근 몇 달 새 일부 미국인 여행객들이 여행지에서 자신의 출신지를 캐나다라고 소개하거나, 가방에 캐나다 국기를 다는 '플래그 재킹'(flag jacking) 행위를 하는 경우가 자주 관찰된다.
도미니카공화국에서 약혼자와 휴가를 보내던 첼시 메츠거(33)는 한 바에서 미국 대 캐나다의 아이스하키 경기를 보던 중, "미국이 이기적이고 전 세계를 망치고 있다"고 말하는 캐나다인 부부와 마찰을 빚은 뒤 캐나다인인 척하기 시작했다. 이 전략은 몇 주간 잘 먹히는 듯했지만, 미국 억양을 들은 다른 미국인 여행객에게 들통이 났다.
미시간주 출신의 공화당 지지자인 그레이스(22)는 친구와 함께 떠난 그리스 여행 중 미국인이라는 이유로 여러 차례 비웃음을 당했다.
결국 그레이스는 한 식당에서 웨이터에게 캐나다인이라고 거짓말을 했는데, 출신지를 묻는 말에 온타리오라고 대답한 뒤 더 난처한 상황에 빠졌다. 공교롭게도 웨이터가 온타리오주에 대해 잘 알고 있어, 두 사람이 알지 못하는 지명을 빠르게 늘어놓았기 때문이다.
이는 1990~2000년대 미국인 유럽 배낭여행자들 사이에서 유행했던 방식이다. 20~30여년이 지난 2025년 들어 부활한 것이다. 2000년대 미국이 아프가니스탄·이라크 전쟁으로 국제사회의 비판을 받을 때 특히 흔했다.
2005년 방영된 '심슨 가족' 이탈리아 편에서도 리사 심슨이 "일부 유럽인은 미국이 지난 5년간 어리석은 선택을 했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이번 주에 나는 캐나다인이다"라고 말하며 자기 배낭에 캐나다 국기를 꿰매 붙이는 장면이 나왔다.
이런 촌극을 지켜보는 캐나다인들의 시선은 당연히 곱지 않다.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직후부터 '캐나다를 합병해 51번째 주로 만들겠다'라고 하거나, 캐나다산 수입품에 고율 관세를 부과하거나, 저스틴 트뤼도 전 총리를 조롱하는 등의 행동으로 이미 대미 감정이 바닥을 치는 상황이다.
캐나다 문화평론가 토드 마핀은 CNN에 "미국 상황이 계속 악화하면서 많은 미국인이 해외여행에 관해 이야기할 때 '캐나다인 코스프레'를 한다는 아이디어가 자주 등장했다"며 "우리는 여러분이 특정 국가 출신이라는 점을 교란하기 위해 걸치는 망토가 아니고, 캐나다는 국가이지 의상 대여점이 아니다"라고 비판했다.
마핀은 "지구상에서 낙하산을 타고 어디든 가서 '캐나다 출신'이라고 말하면 환영받지 못할 곳은 거의 없지만 미국인은 아니다"라며 "해결책은 당신 나라를 바로잡는 것이지, 우리 집에 와서 우리 옷을 입는 것이 아니다"라고 꼬집었다.
마핀은 소셜미디어에서 "어째서인지 미국인들은 우리가 그들의 예비 여권이라고 생각한다"고도 지적했는데, 해당 동영상은 게시 3개월도 지나지 않아 10만 회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하는 등 큰 반응을 얻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시애틀 뉴스/핫이슈
한인 뉴스
- <긴급 공지> 시애틀총영사관 사칭한 보이스피싱 또 무더기 발생
- 한국 최고 명품 ‘덕화명란’ 시애틀 한인들에게 가을세일한다
- 페더럴웨이 통합한국학교 이충인학생, 평통 골든벨 어드벤처 본선 참가
- [기고-최지연] 샛별예술단 불가리아,그리스, 터키 순회공연을 마치고(상)
- [하이킹 정보] 워싱턴주 시애틀산악회 20일 토요산행
- [하이킹 정보] 워싱턴주 대한산악회 20일 토요산행
- [하이킹 정보] 시애틀산우회 20일 토요산행
- 시애틀 한인마켓 주말쇼핑정보(2025년 9월 19일~9월 25일)
- 유니뱅크 추석맞이 무료송금 서비스해준다
- 워싱턴주 선교합창단 이시복 목사, 뺑소니로 중태
- 故강성구 목사 천국 환송예배 27일 벧엘장로교회서
- 한인생활상담소 또다시 킹카운티로부터 49만달러 그랜트받아
- 광복 80주년, 김해~레이크우드 자매결연 30주년 기념행사 다채롭게 열렸다
- 생활상담소 '한인청소년부모특강' 가을학기 참가자모집
- 창발 연례 최대행사 '테크서밋' 다음달 열린다
- 20대 한국인 청년, 시애틀서 뉴욕까지 자전거 횡단 ‘화제’
- 내년 소셜시큐리티 연금 2.7% 인상된다
- 한국학교 서북미협의회, 온라인 교사연수회 성황리에 마무리
- 2025 오레곤 밴쿠버선교대회 성료
- 시애틀 안형남 작가 한국서 기획 초대전 연다
- 매리너스 8연승 질주...브라이언 우 13개 탈삼진 '우승 주역'
시애틀 뉴스
- UW 풋볼팀 애플컵서 WSU 대파했다
- 아마존,MS "취업비자 소지자는 미국에 머물라"긴급지시
- “워싱턴주 코로나 백신에는 큰 변화 없다”
- 어린 세딸 살해한 워싱턴주 아빠, 시신으로 발견된 듯
- 말썽많은 시애틀지역 비키니 바리스타 업주 고소 당했다
- 블랙호크 헬기 워싱턴주 호수추락해 4명 생사불명
- 해럴 시장 시애틀시내 판매세 0.1% 인상 추진
- 시애틀 KOMO방송 오늘밤 찰리 커크 추모 특별편성해 논란
- "월드컵때 타코마~시애틀 특급페리 운항하자"
- 시혹스 캔자스시티에 발목, 11연승 제동 걸렸다
- 시애틀시장 "다른 시들도 홈리스문제 함께 분담하라"
- "너흰 인어 우린 콧수염"…파키스탄 카페, 스타벅스와 10년 싸움 승리
- 시애틀 미국서 '커피도시' 5위로 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