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인 10명 중 9명, 한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 인상 반대

워싱턴 소재 싱크탱크 한미경제연구소-유고브 설문 결과

 

미국 국민 10명 중에서 9명은 한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를 반대한다는 현지의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3일(현지시간) 워싱턴 소재 싱크탱크 한미경제연구소(KEI)와 유고브 공동 여론 조사에 따르면 미국 국민의 단 10%만이 한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 인상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추진 중인 보호무역 강화 정책과는 뚜렷한 온도차를 보이는 결과다.

또 응답자의 68%는 한국과의 무역이 미국 경제에 이롭다고 평가했으며, 일본(71%), 독일(70%), 한국(62%) 등 동맹국으로부터의 직접투자에 대해서도 대다수가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중국 투자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의적인 시각을 보인 것과 대조적이다.

한미동맹에 대한 지지도는 여전히 높게 유지되고 있다. 전체 응답자의 63%는 한미동맹이 미국의 국가안보에 기여한다고 답했으며, 60%는 주한미군의 현재 수준을 유지하거나 증강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북한이 비핵화하더라도 46%는 미군 주둔을 유지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에 대한 호감도는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으며, 66%가 한국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또한 60%는 한국의 음식, 영화, 음악 등 문화적 요소가 미국 내에서 한국의 이미지를 개선하는 데 기여한다고 답했다.

북한에 대한 인식은 여전히 부정적이다. 북한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한 응답자는 11.6%에 불과했으며, 87%는 북한의 비핵화가 중요하다고 답했고, 85%는 인권 문제를 강조했다. 인도적 지원에 대해서는 54%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한국의 독자적 핵무장에 대해서는 미국 국민의 절반이 반대 입장을 보였다. 전체 응답자의 20%만이 이를 지지했으며, 이는 미국의 확장 억제에 대한 신뢰를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한국과 대만에 대한 방어 의지에 대해서는 47%가 유사시 두 국가 모두를 방어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만약 둘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면, 24%는 한국을 우선시했고, 14%는 대만을 선택했다.

국방 산업 협력에 대해서는 56%가 한국과 일본 등 동맹국과의 공급망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응답했으며, 30%는 기술 이전에 대해 보다 엄격한 제한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한국 정책에 대한 평가는 저조했다. 전체 응답자의 33%만이 긍정적으로 평가했으며, 49%는 “잘 모르겠다”고 답해 정책의 일관성 부족과 혼란스러운 메시지가 국민의 신뢰를 저해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미국 성인 118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한 것으로 오차범위 ±3.34%포인트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애틀 뉴스/핫이슈

한인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