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타는 조지아…경제계 "한국인 복귀해야" 주지사 "비자 개선해야"

서배너 경제개발청장 "배터리공장 건설 기술, 한국에 전적 의지"

켐프 주지사 "모든 기업이 비자 문제 겪어…재정비 계기 돼야"


미 조지아주 주요 경제계 인사가 지난 4일 현대차·LG에너지솔루션 합작 전기차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에서 구금·추방된 한국인 근로자들을 다시 데려오는 방안을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17일(현지시간) 트립 톨리슨 조지아주 서배너 경제개발청장은 지역 매체 '서배너 모닝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제가 느끼는 좌절감은, 특정 개인이 설치해야 하는 이런 독점 기술을 보유한 나라가 전 세계 어디에도 없다는 것"이라며 "우리는 한국에 의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인 근로자들만이 배터리 셀 장비 등을 설치하고 향후 미국인 직원들에게 사용법을 교육할 수 있으므로, 이들이 반드시 돌아와야 한다는 것이다.

서배너 경제개발청은 조지아주 정부와 협력해 남동부 서배너 지역에서 일자리·투자 창출 등 경제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민간 기구다.

톨리슨 청장은 지난주 디트로이트에서 팻 윌슨 조지아주 경제개발부 장관, 현대차 경영진들과 만나 "(경영진에게) 지지를 보여 주고 프로젝트를 반드시 완수할 것임을 알렸다"며 "그들(근로자들)을 다시 데려오는 것에 대해 많은 논의가 있었다"고 밝혔다.

서배너 경제개발청에 따르면 현재 조지아 메가사이트 내 현대차그룹메타플랜트아메리카(HMGMA)와 협력업체에서 고용한 인원은 3219명이다. 이번에 사태가 터진 현대차·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HL-GA) 고용 인원을 제외한 수치다.

톨리슨 청장은 "이번 사건은 사소한 차질에 지나지 않는다"며 "우리는 그들(현대차)이 가능한 한 빨리 일정을 정상화할 것이라고 확신한다. 협정은 여전히 유효하다"고 강조했다.

개발업자나 협력업체들 가운데 미 이민세관단속국(ICE)의 단속이 일자리·주택에 끼칠 영향에 대해 우려를 표한 경우도 없었다고 말했다.

필립 리너트 경제개발청 대변인 역시 "체포된 한국인 직원들은 건설 단계에서 장비 설치와 인력 교육을 지원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방문한 사람들"이라며 "그들은 장비 설치에 관한 전문적 지식과 경험을 가진 숙련된 근로자들"이라고 말했다.

브라이언 켐프 조지아 주지사도 처음으로 침묵을 깨고 단속 사태에 대해 목소리를 냈다.

지역 방송사 '애틀랜타 뉴스 퍼스트'에 따르면 켐프 주지사는 전날 애틀랜타의 리비안 전기차 공장 부지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민 단속이 미국 비자 제도를 재정비하는 계기가 돼야 한다"며 "이번 사건은 현대차만의 문제가 아니라, 전국의 많은 기업들이 겪은 문제"라고 말했다.

크리스 클라크 조지아 상공회의소 회장 또한 "농장 근로자를 위해서든, 한국·일본·독일 기업 공장 건설을 도우려 들어오는 근로자를 위해서든, 미국의 비자 프로그램을 개혁해야 한다"며 "그들이 일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비자 제도가 필요하다. 장기적으로 조지아 근로자들이 혜택을 보기 때문"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애틀 뉴스/핫이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