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문 망루에 나란히 선 김정은·시진핑·푸틴…'反 트럼프' 연대 과시

66년 만에 한 자리에 모인 북중러 정상…자체만으로 상징성

北 '대미 협상력'·中 '다극 질서'·러 '고립 탈출'…북중러 속내


중국 '전승절'(항일전쟁 및 세계 반파시스트 전쟁 승리) 80주년 기념 열병식을 맞아 천안문 망루 위에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중심으로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한자리에 모였다.

북중러 정상이 한 자리에 모인 건 1959년 10월 1일 '신중국 건국 10주년' 행사 이후 이번이 66년 만이다. 당시 김일성 주석, 마오쩌둥 중국 국가주석, 니키타 흐루쇼프 소련 공산당 서기장은 당시 공산주의권 주요 지도자들과 함께 천안문 망루에 섰다.

김 총비서의 첫 다자외교 데뷔 무대인 이번 전승절에서 북중러 정상의 동시 등장은 북중러 3각 공조와 '반미·반서방' 연대를 암시하는 전략적 메시지로 읽힌다.

이날 김 총비서는 전승절 행사에 검은색 양복 차림으로 모습을 드러냈다. 천안문 광장으로 입장하는 길목에서 시진핑 주석과 나란히 걸으며 자연스럽게 대화를 나누는 모습도 포착됐다.

잠시 뒤 김 총비서와 시 주석, 푸틴 대통령은 나란히 걸음을 옮겨 노병들이 서 있는 쪽으로 다가갔다. 시 주석이 먼저 손을 내밀자 푸틴 대통령과 김 총비서도 연이어 노병들과 악수를 나눴다. 특히 김 총비서는 노병들의 손을 하나하나 꼭 잡으며 인사를 건네는 모습이 눈길을 끌었다.

본행사에서 북중러 정상은 망루 중심에 나란히 섰다.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가 3일(현지시간) 중국 베이징시 톈안먼(천안문) 광장에서 열린 '전승절'(항일전쟁 및 반파시스트 전쟁 승리) 80주년 행사에 참석하고 있다. (중국 CGTN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2025.9.3/뉴스1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가 3일(현지시간) 중국 베이징시 톈안먼(천안문) 광장에서 열린 '전승절'(항일전쟁 및 반파시스트 전쟁 승리) 80주년 행사에 참석하고 있다. (중국 CGTN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2025.9.3/뉴스1
김정은, 첫 다자외교 무대…'안러경중' 포석

김 총비서의 전승절 참석은 다자외교 무대에 본격적으로 발을 들이는 상징적 장면이다. 그동안 국제 행사를 꺼려 온 김 총비서가 중국을 방문한 배경에는 '안러경중(安俄經中)' 전략이 깔려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군사·안보 분야에서는 러시아와의 협력을 이어가면서도 경제와 무역, 관광 등 대외적 돌파구는 중국과의 관계 복원을 통해 모색하려는 계산이다.

러시아와의 군사 협력을 통해 북한이 얻을 수 있는 실익은 이미 상당 부분 소진된 상태다. 우크라이나 전쟁이 장기 교착 국면에 빠진 가운데, 언제 러시아가 북한에 등을 돌릴지 모른다는 불확실성도 존재한다. 이런 맥락에서 북한은 러시아와의 군사 협력을 유지하되 그 비중을 조정하고, 새로운 다자외교 무대로 전략을 전환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이번 전승절은 김정은 총비서가 국제무대에서 입지를 넓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시진핑·푸틴과 나란히 천안문 망루에 선 장면은 북한 내부 결속을 강화하는 동시에 대미 협상력을 높이는 카드로 활용될 가능성도 크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비롯한 주요 내빈들이 3일(현지시간) 중국 베이징시 톈안먼(천안문) 광장에서 열린 '전승절'(항일전쟁 및 반파시스트 전쟁 승리) 80주년 행사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중국 CGTN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2025.9.3/뉴스1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비롯한 주요 내빈들이 3일(현지시간) 중국 베이징시 톈안먼(천안문) 광장에서 열린 '전승절'(항일전쟁 및 반파시스트 전쟁 승리) 80주년 행사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중국 CGTN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2025.9.3/뉴스1
북러 정상, 전승절 초청한 中, '키 플레이어' 입지 강화

김 총비서와 푸틴 대통령을 전승절 행사에 초청한 중국의 전략도 분명하다. 시 주석은 미국과의 갈등이 심화하는 가운데, 국제사회에 '중국 중심의 다극 질서' 구상을 보여주고자 한다. 김 총비서와 푸틴 대통령과 함께 선 장면만으로도 중국이 북러 관계의 조정자이자 영향력의 축임을 과시하는 효과가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시 주석이 김 총비서를 초청하며 상당한 공을 들인 만큼, 중국이 북한에 일정한 경제적·외교적 양보를 제시할 가능성이 높게 점쳐진다. 김 총비서 입장에서는 중국과의 관계를 강화해 향후 미국과의 협상에서 활용할 수 있는 지렛대를 확보하려는 목적이 큰 것으로 풀이된다.

푸틴 대통령에게도 이번 전승절은 단순한 군사 퍼레이드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 중국·북한과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대내외에 과시할 수 있는 무대로 평가된다. 특히 김 총비서와 북러 정상회담 가능성까지 언급되면서, 양국간 군사협력 강화가 이번 전승절 이후 본격화할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애틀 뉴스/핫이슈

한인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