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병식에 검정 양복 입고 등장한 김정은…'정상국가 지도자' 이미지 부각

시 주석과 인민복 차림 맞추는 대신 양복 차림으로 등장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가 3일 중국 베이징에서 개최된 전승절 열병식에 참석한 가운데, 첫 다자행사에 모습을 드러낸 그의 옷차림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그는 인민복 대신 검은색 정장을 입은 모습이었는데, 이는 정상국가 지도자로서의 이미지를 부각하기 위한 의도로 보인다.

이날 오전 9시(현지시각) 시작된 열병식 행사에 김 총비서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나란히 걸어 등장했다. 세 정상은 열병식을 관람하기 위해 천안문 망루에 오르는 내내 이야기를 나누는 모습이었다.

중간에 시 주석이 중국 노병들에게 악수와 인사를 건네자, 옆에 있던 김 총비서와 푸틴 대통령 역시 노병들과 일일이 웃으며 악수하기도 했다.

특히 이날 김 총비서는 흰 셔츠에 검은색 정장, 연한 줄무늬 넥타이를 착용해 눈길을 끌었다. 이는 그가 처음으로 인민복을 벗고 넥타이 회담을 진행했던 지난 2023년 9월 북러 정상회담 때와 매우 비슷한 모습이다.

김 총비서는 지난 1일 중국으로 출발하기 위해 전용열차에 올라탔을 때까지만 해도 검은색 인민복을 입고 있었는데, 이튿날 오후 베이징역에 도착할 때는 흰셔츠에 검은색 정장, 빨간 넥타이의 양복 차림으로 바뀌어있었다. 시 주석, 푸틴 대통령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첫 국제 행사에 참석하는 만큼 이들과의 통일성을 위해 의도적으로 양복을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가 3일(현지시간) 중국 베이징시 톈안먼(천안문) 광장에서 열린 '전승절'(항일전쟁 및 반파시스트 전쟁 승리) 80주년 행사에 참석하고 있다. (중국 CGTN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2025.9.3/뉴스1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가 3일(현지시간) 중국 베이징시 톈안먼(천안문) 광장에서 열린 '전승절'(항일전쟁 및 반파시스트 전쟁 승리) 80주년 행사에 참석하고 있다. (중국 CGTN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2025.9.3/뉴스1

 

통상 북한 최고지도자들의 공식 복장은 인민복이었다. 김일성 주석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내부 현지 지도나 공식 행사, 그리고 해외 방문 일정 시에도 주로 인민복을 입어왔으며, 특히 김 위원장은 2000년 김대중 대통령, 2007년 노무현 대통령과 남북정상회담을 진행할 때 회색 또는 갈색 계열의 인민복을 즐겨 입는 모습을 보였다.

인민복은 북한과 중국을 비롯한 사회주의 국가 지도자들의 의상으로 통용된다. 중국에서는 신해혁명 이후 중화민국 임시정부 때 서양 남성복을 응용해 전통 복식을 개량해 '중산복'이라고 부른다. 북한에서는 김 총비서가 입는 인민복을 '맞섶양복' 등으로 부른다.

김 총비서 역시 집권 초까지만 해도 인민복을 자주 입는 모습이었다. 지난 2016년 제7차 당대회에서 처음 양복을 입고 대외 활동에 나섰지만, 이후 2018년 남북·북미 정상회담과 2019년 북중 정상회담에서 김 총비서는 모두 인민복을 입고 참가했다.

그러다 지난 2023년 9월 13일 러시아 보스토치니 우주기지에서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상봉했을 때 그는 처음 양복 차림으로 정상회담을 진행했다. 당시 그는 검은색 정장에 옅은 녹색 줄무늬가 들어간 넥타이를 착용했다.

한편, 이날 시 주석은 지난 2015년 9월 전승절 70주년 행사 당시와 같이 회색 계열의 인민복을 입고 열병식에 참석했으며, 푸틴 대통령은 검정 양복에 붉은색 넥타이를 맨 모습으로 등장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애틀 뉴스/핫이슈

한인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