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7 돈줄 죄기 두 달…강남3구·마용성, 현금부자만 집 샀다

강남3구 1666건, 2조 9755억 원…자기자금·부동산 처분 중심

증여·상속 거래 비중 강남 26.8%…실수요자 진입 장벽 높아져


6·27 대출 규제 시행 두 달 만에 서울 '강남3구'와 '마용성' 주택시장이 자금력 있는 계층 중심으로 재편된 것으로 나타났다. 규제에도 현금 보유자와 기존 주택 보유자의 거래가 시장을 주도했다는 분석이다.


11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김은혜 국민의힘 의원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6월 28일부터 8월 27일까지 강남3구(강남·서초·송파)에서는 총 1666건, 2조 9755억 원 규모의 주택거래가 이뤄졌다. 건당 평균 거래가는 17억 8600만 원이며, 강남구는 23억 9200만 원, 서초구는 20억 1000만 원, 송파구는 12억 7300만 원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자기자금 조달 내역을 보면 금융기관 예금 활용 1139건, 부동산 처분대금 1111건으로 실수요자의 갈아타기 수요와 고액 현금 보유자가 시장을 주도했다.


차입금 항목에서 금융기관 대출은 944건으로 가장 많았다. 그러나 6·27 대출 규제로 주택담보대출 한도가 6억 원으로 제한되면서, 부족 금액은 기존 자산 처분으로 충당됐다.


마포, 용산, 성동에서는 769건, 1조 1388억 원 규모의 주택이 거래됐다. 평균 거래가는 14억 8000만 원이며 자기자금 조달은 예금 515건, 부동산 처분대금 470건으로 나타났다.


증여와 상속을 통한 거래도 강남3구에서 389건, 마용성에서 162건 발생했다. 강남3구 거래 중 비중은 23.3%로 마용성(21%)보다 높았으며, 특히 강남구는 26.8%를 기록했다.


김은혜 국민의힘 의원은 "6·27 대출 규제로 현금 자산과 세대 간 자산 이전이 가능한 가구만 거래에 참여했다"며 "규제가 증여·상속을 통한 거래를 확대하면서 결국 현금 부자만 혜택을 보는 구조가 됐다"고 지적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뉴스포커스

한인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