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회담보다 뜨겁다'…젠슨 황·이재용·정의선 '치맥회동' 관심 폭발

30일 서울 삼성동 깐부 치킨서 회동…만남 수시간 전부터 인산인해

'깐부치킨' 정한 배경에도 관심…업계 "상징적 의미 담겼을 듯"


15년 만에 방한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30일 이재용 삼성전자(005930) 회장,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과 일명 '치맥 회동'을 예고하자 세간의 모든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AI 황제로 불리는 젠슨 황 CEO와 우리나라의 반도체와 모빌리티 산업을 대표하는 기업 총수 간의 만남만으로도 화제가 됐는데 대한민국의 대표 먹거리인 '치킨'을 만찬 메뉴로 결정하자 더욱더 관심이 쏟아지는 것으로 보인다.

이들이 서울 강남구의 한 치킨집에서 '치맥 회동'을 가진다는 소식에 현장에는 회동 수 시간 전부터 인산인해를 이루고 있다.

회동 장소는 황 CEO 의사에 따라 엔비디아 측에서 정한 것이라는 전언이다. 황 CEO는 그간 공개 석상에서 늘 '트레이드마크'인 가죽 재킷을 입는 등 자신만의 확고한 스타일을 고수했는데, 이번 치맥 회동도 황 CEO의 스타일이 드러났다는 평이다.

특히 회동 장소가 '깐부'라는 이름의 치킨집으로 정해지면서 장소 선택 배경에도 궁금증을 자아내고 있다. 업계에선 '깐부'가 친한 친구나 동료, 짝꿍 또는 동반자를 뜻하는 한국어 은어인 만큼 상징적인 의미가 담겼다고 본다. 앞서 깐부라는 단어는 넷플릭스 드라마 '오징어게임'에 등장한 "우리는 깐부잖아"라는 대사로 세계적인 인지도를 얻은 바 있다.

업계와 재계에선 이번 만남을 두고 단순한 친목의 의미를 넘어, 세 기업 간 반도체와 인공지능(AI), 미래 모빌리티 분야에서의 협력과 연계된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삼성전자는 엔비디아향 5세대 HBM(HBM3E) 12단 제품 양산을 준비하고 있다. 또 6세대 HBM(HBM4) 품질 검증도 순조롭게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차그룹 역시 올해 1월 엔비디아와 모빌리티 혁신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 협력 관계를 자율주행, 로봇 등 산업 전방위적으로 확대하기로 한 바 있다.

앞서 황 CEO도 이번 방한에서 깜짝 발표가 있을 것이라고 암시하면서 회동에 대한 관심은 더욱더 집중됐다. 이를 반영하듯 회동 시작 수 시간 전부터 치킨집 앞 인도는 이들을 보기 위해 몰린 취재진과 사람들로 가득 찼다.

한편, 엔비디아는 치맥 회동 다음 날인 31일 삼성전자, SK, 현대차그룹, 네이버 등 국내 주요 기업과 AI 반도체 공급 계약을 새로 체결해 발표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애틀 뉴스/핫이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