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윤철 "'3500억불 선불' 트럼프 설득 불확실…마스가 특화 살아있어"

"선불 어렵다 설명에 베선트 이해…러트닉 및 행정부 설득 요청"
"3500억달러 투자 방식에 따라 외환 안정성 재차 점검해야"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6일(현지시간) 한미 후속 무역협상의 핵심 쟁점으로 떠오른 3500억 달러 대미 투자 전액을 선불 형태로 제공하기는 어렵다는 점을 지속적으로 설득하고 있다면서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이를 수용할지는 자신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구 부총리는 이날 워싱턴DC 국제통화기금(IMF) 본부 건물에서 한국 특파원들과 만나 '3500억 달러 선불 투자 방식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느냐'는 질문에는 "우리 입장에서는 외환 사정상 굉장히 어렵다는 것을 저희 카운터파트인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을 통해서 계속 설득했다"라고 말했다.

구 부총리는 "베선트 장관은 충분히 그 부분을 이해하고 있다"면서 베선트 장관에게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이나 미 행정부 내부에서 목소리를 내달라고 요청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도 구 부총리는 "트럼프 대통령이 이를 수용할지 여부에 대해서는 불확실성이 있다"라고 했다.

구 부총리는 '마스가'(MASGA, Make America Shipbuilding Great Again) 전용 펀드라는 아이디어가 아직 있느냐'는 질문에 3500억 달러 중 1500억 달러를 별도로 조선 분야에 특화하는 방안을 미국 측과 협의 중이라고 밝혔다.

구 부총리는 "오늘 백악관 관리예산국(OMB)과 대화한 것도 이 때문"이라면서 "저희가 마스가 프로젝트와 관련해 관련 부처를 설득하는 게 유리하기 때문에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 등이 설명을 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우리 입장에서는 원하는 분야에 투자하는 것이 가장 좋고, 미국도 굉장히 필요한 분야"라면서 "미국과 한국이 지금 접점이 가장 맞는 분야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미국 측) 여러 (관련) 부처를 설득해 놓으면 나쁘지 않다고 본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런 차원에서 OMB가 예산도 다루고 있고 조직도 담당하기 때문에 접점이 있다"면서 "저도 오늘 백악관 OMB와 미팅에 참석하려 했는데 일정상 참석하지 못했다"라고 덧붙였다.

구 부총리는 3500억 달러 규모 대미 투자의 10년 분할 방안이나 원화를 베이스로 한 한미 통화스와프가 논의되고 있다는 보도에 대해서는 "저도 처음 듣는 얘기로 소스를 정확하게 알기 어렵다"면서 "확인을 해봐야 할 것 같다"라고 답했다.

그는 '외환 안정성만 확인되면 3500억 달러를 투자하는 데 걸림돌이 없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아니다"라면서 투자 방식에 따라 외환 안정성을 재차 점검해야 한다고 답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애틀 뉴스/핫이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