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25% 관세, 현대차그룹 연간 부담 8.4조원…완성차 중 최고"

나신평, 현대차그룹 이익률 9.7%→6.3% 하향
"낮은 관세율 경쟁사, 가격 인하 전략시 美 경쟁 구도 변동 위험"

 

미국 자동차 관세율이 25% 유지하면 현대차(005380)그룹의 연간 관세 비용이 8조 원을 넘어설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글로벌 주요 완성차 업체 중 가장 높은 수준이다.

15일 나이스신용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의 한국산 수입 자동차 관세율 25% 유지 시 현대차그룹은 연간 8조 4000억 원의 관세 비용을 부담할 전망이다.

이는 도요타 6조 2000억 원, 제너럴모터스(GM) 7조 원, 폭스바겐 4조 6000억 원보다 최대 2조 원 가까이 많은 수준이다.

나신평은 관세 25% 적용으로 현대차그룹의 연간 영업이익률은 기존 9.7%에서 6.3%로 3.4%포인트(p) 하락할 것으로 분석했다. 이익률 하락폭 역시 도요타(1.6%p), GM(3.0%p), 폭스바겐(1.2%p)보다 클 것이라는 관측이다.

다른 주요 완성차 업체 중 GM의 경우 관세 비용과 이익률 축소 폭이 큰 것은 한국에 공장을 두고 있어서다. 한국GM은 지난해 전체 수출물량 47만 3165대 중 88.5%인 41만 8782대를 미국에 수출했다.

나신평은 한국산 관세율이 일본, 유럽연합(EU)과 같은 15%로 하향 조정 시 현대차그룹의 관세 비용은 5조 3000억 원 수준으로 줄 것이라며 영업이익률도 7.5%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나신평은 "현대차그룹은 우수한 수익성과 재무적 융통성으로 관세 부담을 일정 수준 대응할 수 있겠지만, 주요 경쟁사가 상대적으로 낮은 관세율을 기반으로 가격 인하 전략을 전개하면 미국 경쟁 구도가 변동될 위험도 있다"고 설명했다.

또 "미국 시장의 경쟁 강도를 감안하면, 관세 부담의 가격 전가가 어려워 주요 회사들의 수익성 저하는 불가피할 것"이라며 "향후 관세 관련 세부사항 확정내용과 이에 따른 현대차그룹의 미국시장 내 경쟁 지위 변화여부, 그리고 재무부담 확대 수준 등이 신용위험의 주요 결정요인이 될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애틀 뉴스/핫이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