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 차단에 분노한 네팔인, 대규모 시위…최소 14명 사망

네팔 수도 카트만두에서 8일(현지시간) 소셜미디어 차단과 정부의 부패에 항의하는 시위가 격화되며 최소 10명이 사망하고 87명이 부상했다고 AFP통신이 보도했다. 경찰은 시위대를 해산하기 위해 고무탄과 최루탄, 물대포를 사용했으며, 시위는 국회의사당 인근까지 확산했다. 이 시위 사망자에 대해 현지 국영 방송은 최소 14명이 사망했다고 보도했다.

시위는 지난 6일 네팔 정부가 등록되지 않은 26개 소셜미디어 플랫폼을 차단하면서 촉발됐다. 페이스북, 유튜브, X(구 트위터) 등 주요 플랫폼이 접속 불가 상태가 되자 시민들의 불만이 고조됐다. 가뜩이나 정치적 무능과 구조적 부패에 시민들의 불만이 높아지던 차였다.

카트만두 밸리 경찰 대변인 셰카르 카날은 AFP에 “현재까지 10명이 사망했고 87명이 부상했다”며 “시민들이 여전히 거리에서 시위를 이어가고 있다”고 밝혔다. 인근 시민병원에는 부상자들이 몰려들었으며, 병원 관계자는 “최루탄이 병원 내부까지 유입돼 의료진의 진료가 어려운 상황”이라고 전했다. 카트만두 밸리는 수도 카트만두를 포함해 고대 도시 세 곳이 있는 계곡 지역을 말한다.

시위는 시위대가 국기를 흔들고 국가를 부르면서 시작됐다. 시위대는 소셜미디어 금지와 부패에 반대하는 구호도 외쳤다. 시위대는 철조망을 넘어 국회 경내까지 진입했다. 전국 각지에서도 유사한 시위가 이어지고 있다. 당국은 국회, 대통령 관저, 총리실이 위치한 싱하두르바르 등 주요 지역에 통행금지령을 발령했다.

시위에 참여한 24세 대학생은 “소셜미디어 차단이 직접적인 계기였지만, 우리는 제도화된 부패에 항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20세의 또 다른 학생은 “정부의 권위주의적 태도에 반대하며, 우리 세대에서 이 악순환을 끝내고 싶다”고 밝혔다.

정부는 플랫폼들을 차단하기 전인 지난달, 7일 이내에 네팔 내 등록과 연락 창구 마련, 불만 처리 담당자 지정 등을 소셜미디어 기업들에 요구했다. 이는 지난해 9월 대법원판결에 따른 조치다. 하지만 일부 기업은 이에 응하지 않았다.

네팔은 지난 7월에도 텔레그램을 온라인 사기와 자금세탁 우려로 차단한 바 있으며, 틱톡은 지난해 8월 규정 준수 조건으로 9개월 만에 차단이 해제됐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애틀 뉴스/핫이슈

목록
목록

한인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