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슨 황 "韓, 세계 AI 중심지 될 것"…李대통령 "투자로 골든벨"

[경주 APEC] 젠슨 황 접견에서 韓-엔비디아 협력 논의
엔비디아 GPU 26만장 이상 확보…"정부가 전폭 지원"

 

이재명 대통령은 31일 젠슨 황 엔비디아 CEO를 만나 대한민국 AI(인공지능) 산업 투자와 함께 'AI 3대 강국' 도약을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젠슨 황 대표는 "훌륭한 (AI)산업 역량을 지닌 나라는 한국 말고 어디에도 없다고 생각한다"고 향후 투자에 긍정적 입장을 밝혔고, 이 대통령은 "정부가 전폭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이 대통령은 경주 APEC 정상회의 첫날인 이날 오후 황 CEO와 만나 대한민국 AI 인프라를 비롯한 AI 생태계 전반의 혁신 방안에 대해 의견을 나누고 한-엔비디아 협력을 약속했다고 대통령실이 밝혔다.

접견에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이해진 네이버 의장이 함께했고 김용범 정책실장과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등이 배석했다. 사회는 하정우 AI수석이 맡았다.

이 대통령은 "엔비디아의 대한민국 흑자가 확대되고, 대성공을 거둬서 대한민국 국민 모두가 골든벨을 받는 상황이 되길 바란다"며 "옛날에 용산 전자상가에 가시는 마음으로 대한민국의 전역을 다녀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 국민들이 엔비디아 투자를 정말 큰 관심을 가지고 있고, 정부 입장에서도 전폭 지원하도록 하겠다"며 "대한민국 정부는 앞으로 인공지능 기술이 거의 대한민국뿐만 아니라 전세계 인류의 미래를 결정적으로 바꿀 것이라 생각해서 대대적인 투자·지원을 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그러면서 "전세계에서 인공지능 관련 사업을 가장 시작하기 좋은 나라, 성과나는 나라로 저도 노력할거고, 국민도 노력할 것"이라며 "여러분도 그 속에서 꼭 성공하길 바란다"고 했다.

젠슨 황 CEO는 이에 "한국은 이미 굉장히 깊은 (AI)기술 역량을 보유하고 있고 성공한 기업가분들도 계시다"며 "훌륭한 (AI)산업 역량을 지닌 나라는 한국말고 어디에도 없다고 생각한다"고 화답했다.

젠슨 황 CEO는 "대통령께서 보여주신 지원, 열정, 힘을 실어주신 덕분에 한국은 전세계 AI의 중심지가 될 수 있을 것"이라며 "한국 AI 발전을 위해 계속해서 함께 협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대한민국이 인공지능을 중심으로 지금과 완전히 다른 정말 혁신적인 사회로 바뀌어가야 하는데 여기 계신 분들 뿐만 아니라 젠슨 황 대표께서 함께하고 계셔서 정말 든든하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모두발언을 통해선 "대한민국의 목표는 아시아·태평양 지역 AI 수도로 거듭나는 것으로 최근 한국을 아태 지역 AI 허브로 발전시키는 프로젝트에 블랙록, 오픈AI와 같은 글로벌 AI 기업이 함께 하기로 했다"며 "엔비디아도 동참해 인프라·기술·투자가 선순환하는 AI 생태계를 함께 만들어 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엔비디아 GPU로 AI 컴퓨팅 인프라 확충…삼성·SK·현대차 '피지컬 AI' 고도화

이날 접견에선 엔비디아-삼성전자뿐 아니라 AI관련 제반 기업들과 △피지컬 AI 등 핵심분야 AI 인프라 구축 및 기술협력 △AI 기술 공동연구 △AI 인재 양성 및 스타트업 지원 방안 등에 관해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우리 정부는 엔비디아의 최신 GPU를 26만 장 이상 확보해 AI 컴퓨팅 인프라를 대폭 확충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공공 및 민간 AI 인프라 수요에 대응하고, 하드웨어 설치를 넘어 엔비디아와 구축·운용 기술 협업도 병행한다.

우리나라 기업과 엔비디아의 협력 방안도 논의됐다. 먼저 현대차와 네이버가 피지컬 AI 등 분야 경쟁력 확보를 위해 엔비디아와 협력하기로 했다. 또 과학기술정보통신부·현대차·엔비디아는 접견에 앞서 국내 피지컬 AI 역량 고도화를 위한 양해각서(MOU)도 체결했다.

이를 통해 현대차와 엔비디아는 AI 자율주행차, AI 자율제조 등 피지컬 AI 기술개발과 특화 인재 양성을 추진한다. 네이버는 엔비디아와의 협력을 통해 클라우드 및 AI 기반 소프트웨어중심차량(SDV) 등 피지컬 AI 경쟁력 강화에 나설 예정이다.

반도체 기업인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도 엔비디아 GPU를 활용해 반도체 생산 공정 개선을 위한 디지털 트윈 구축에 나선다. HBM 공급 확대 등 우리 기업과 엔비디아의 파트너십 강화 방안도 이날 논의됐다.

아울러 엔비디아는 국내 산·학·연과 양자 하이브리드 컴퓨팅, 지능형 기지국(AI-RAN) 상용화 등 AI 기술 공동연구도 진행한다. AI 인재 양성 및 스타트업 지원에도 나선다.

대통령실은 "AI 및 피지컬 AI 풀스택 전반에 걸쳐 역량을 갖춘 국내 기업과 엔비디아의 협업이 강화함에 따라 우리나라의 AI 기반 혁신을 가속화하고 제조·서비스 품질과 경쟁력을 한층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애틀 뉴스/핫이슈

목록
목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