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틴-시진핑 '150세 장기이식' 발언…전문가 "현실적으로 불가능"

생명연장 '마지막 희망카드'인 장기이식으론 10, 20년 연장

온병원 항노화연구소 "건강한 노년은 세월에 순응하며 살기"


최근 러시아 푸틴 대통령과 중국 시진핑 주석이 중국 전승절 행사에서 장기이식으로 인간이 150세까지 살 수 있다는 대화를 나눈 사실이 화제가 됐으나, 전문가들은 장기이식이 생명 연장에는 도움이 되지만 인간을 150세까지 살게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단언한다.

장기이식은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을 앓는 환자에게 신장(20년 이상), 심장(10~15년), 간(10년 이상) 등 새로운 생존 기간을 제공하는 중요한 치료법으로, 의학계에서 생명연장의 '마지막 희망카드'로 불린다.

부산 온병원 김동헌 병원장은 "장기이식만으로도 환자의 삶이 크게 연장되지만, 그렇다고 해서 인간이 150세까지 산다는 건 전혀 다른 차원의 이야기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된 평가"라고 7일 설명했다.

세계적인 노화 연구자들은 인간 수명의 자연적 한계를 이론상 150세까지 주장하고 있으나, 현실적으로는 115~125세로 보며, 현재까지 확인된 최고령자는 122세(프랑스의 잔 칼망, 1875~1997)이고 120세를 넘긴 사례는 더 이상 보고되지 않고 있다.

서울의대 노화연구팀 관계자는 "노화란 단순히 장기가 닳는 문제가 아니라 세포 수준에서 복잡하게 진행되는 퇴행 현상이기 때문에, 장기 하나를 새것으로 교체한다고 해서 인생이 150년으로 늘어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최근 푸틴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의 '장기이식으로 150세 생명 연장 가능' 발언이 화제지만, 의학계는 이는 불가능하다는 게 중론이다. 건강수명을 몇 년 늘릴 다양한 의학과 제약 기술(메트포르민, 라파마이신, 줄기세포, 재생의학, 유전자 편집 등)을 연구 중이라고 밝혔다. 다만, 현재로서는 150세 달성은 어렵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국내 노화 연구 권위자는 "150세 수명 시대라는 표현은 과학적 근거보다는 정치적 상징이나 미래적 수사에 가깝다"며 "현실적으로는 120세 안팎이 인간의 수명 한계선"이라고 지적했다.

정근 대한종합병원협회 이사장은 "푸틴과 시진핑의 '150세 발언'에 대해 '장기이식은 생명 연장이 목적이며 불멸이 아니다'는 게 답이다"며 "신약, 재생의학, 유전자 치료 발전에도 150세 시대는 아직 먼 미래의 이야기라며 노년을 슬기롭게 대처하려면 현재로선 잘 먹고, 적당히 운동하며, 스트레스를 덜 받고, 정기 건강검진을 받는 것이 가장 검증된 장수 비결"이라고 강조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애틀 뉴스/핫이슈

한인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