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사이트서 사라진 '동남아 구직글' 텔레그램에선 여전히 '활개'

태국·중국서 여전히 활발히 '구인 중'

"위장 수사 등 도입해 범죄 예방해야"


캄보디아를 비롯한 동남아 지역에서 한국인을 포함한 외국인 상대 납치·감금·고문 등 잔혹 범죄가 잇따라 드러나고 있는 가운데, 경찰이 '고수익 일자리'를 빙자한 해외 취업 유인 광고글에 대한 단속에 나섰다. 그러나 단속이 미치기 어려운 텔레그램 등지에서는 여전히 관련 채용 공고가 활발히 올라오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24일 뉴스1 취재에 따르면 경찰이 '유인 광고글' 단속을 발표한 이후, 해외 한인회 사이트 등에 올라오던 모집 게시물 상당수가 삭제된 상태다. 동남아 지역 근무를 내세운 TM(텔레마케팅) 채용 안내가 게시되던 한 사이트의 경우, 검색 엔진에서는 여전히 검색이 가능하지만 실제 접속을 시도하면 '삭제된 게시물'이라는 팝업창이 뜨며 내용을 확인할 수 없었다. 사이트 내 채용 관련 글들도 대부분 사라진 상태였다.


하지만 텔레그램 등 단속이 어려운 메신저에서는 여전히 이 같은 구인글이 올라오고 있었다. 1400명 이상이 참여한 한 텔레그램 채널에는 지난 23일 오전에도 '태국 본사에서 직접 구인'한다며 '초보자 월 1000만 원 이상, 경력자 최대 8000만 원 이상 가능'이라는 내용의 글이 올라왔다.


이 채널에는 근무지가 '중국'인 모집 글도 함께 있었다. 마찬가지로 '해외 TM 콜직원을 구한다'며 지원 자격으로는 '성실하게 가능하신 분'만을 요구했다. 또 '통장 매입'이나 '선불유심 매입' 관련 게시물도 다수 확인됐다. 지난 8월 캄보디아에서 고문을 당해 숨진 대학생 박 모 씨 역시 대포통장 매입 조직에 의해 현지로 향한 것으로 전해졌다. 범죄 정황이 사실상 드러나 있는 셈이다.


텔레그램이 수사에 일부 협조하고 있으나, 개방된 인터넷 공간의 웹사이트와 달리 폐쇄형 메신저를 통한 채용 홍보를 단속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 텔레그램은 지난해 10월 경찰청·대검찰청 등 수사기관과 협조 체계를 구축했으며, 수사당국으로부터 서비스 약관을 위반한 범죄 활동 관련 사건의 유효한 명령을 받으면 이용자의 IP 주소와 전화번호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텔레그램 공식 봇 채널 'Transparency Reports'(투명성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3분기 동안 한국 수사당국으로부터 총 1531건의 정보 제공 요청을 받은 텔레그램은 3959명의 이용자 정보를 제공했다.


그러나 텔레그램이 제공하는 정보는 이용자의 IP 주소와 전화번호 등으로 한정된다. 범죄 조직이 대포폰 또는 '가상 번호'를 사용하거나, 도용된 번호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 이 정보만으로는 신원 특정이 어렵다는 것이다.


전문가는 제도 개선과 함께 적극적인 수사가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이웅혁 건국대학교 경찰학과 교수는 "현재 디지털 성범죄 수사에만 한정돼 있는 위장 수사 등 수사기법을 자국민을 대상으로 한 대형 범죄에도 허용하도록 제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용의자뿐만 아니라 관련된 텔레그램 채널 참여자 전반에 대해 적극적으로 텔레그램 측에 수사 협조를 요청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앞서 서울경찰청은 지난 20일 정례 기자간담회를 열고 동남아 '사기 단지' 관련 유인 광고 게시글에 대해 삭제·차단 조치와 함께 게시자 계좌 및 IP 추적을 통한 적극 단속 방침을 밝혔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뉴스포커스

목록
목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