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한 줄 알았는데"…청년들 두 번 울린 캄보디아 취업 사기

'고액 연봉' '학력 무관' 등 키워드로 대학생, 구직자 현혹

취업에 대한 고통과 절박함…"국민 대상 해외 범죄 홍보 필요"


"디자인 일을 구하고 있었는데 간판이나 포스터, 명함 디자인을 단기로 하고 350만~400만 원을 준다는 고액 알바 공고를 보고 연락했어요"

지난 7월 24일 '고액 알바'라는 말에 캄보디아로 향했던 A 씨는 뉴스1과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고액 알바', '좋은 조건' 등의 말에 현혹된 청년들이 범죄의 타깃이 된 사건이 연이어 발생하며 취업에 대한 절박함이 이들을 한층 쉽게 해외 취업 사기 범죄에 빠져들게 만든다는 분석이 나온다.


13일 뉴스1 취재를 종합하면 최근 한국인을 대상으로 해외 취업을 빙자해 납치·감금·폭행 등을 벌이는 사건이 다수 발생했다.


지난 8월 9일 한국 정부는 현지 당국과 협조해 캄보디아 캄폿주 보코산 지역 인근 범죄 조직을 검거하고 감금돼 있던 한국인 14명을 구조했다. 감금됐던 한국인들은 현지 범죄조직이 운영하는 건물에 갇혀 마약 운반, 보이스피싱 등 불법 행위에 참여를 강요받았다.


A 씨를 비롯한 이들은 대부분 '고수입 아르바이트'나 '해외 취업'이라는 단어에 이끌렸다.


같은 조직에 감금됐던 경북 예천군 출신의 대학생 B 씨(22)도 "여름방학 기간 캄보디아에서 열리는 박람회에 다녀오겠다"며 캄보디아로 출국했다가 끝내 시신으로 발견됐다.


지난 2월 18일 사단법인 한인구조단을 통해 구출된 20대 후반 C 씨도 구조단을 통해 남긴 글에서 "(당초) 취업한 회사에서 버티기가 너무 어려웠다. 참고 다니려 노력했으나 한계에 부딪힌 어느 날 한 SNS(사회관계망)에서 캄보디아에서 좋은 조건(높은 페이, 숙식 제공, 항공권 지급)으로 일을 할 수 있다는 말을 듣게 됐다"고 취업 사기에 빠지게 된 경위를 설명했다.


A 씨와 같은 조직에 감금됐던 이들 가운데엔 인터넷 상에서 구직자를 구하는 글이나 사업 제안을 보고 캄보디아로 향했다. 한국에서 사무직으로 일하던 중 '캄보디아로 출장을 가라'는 말을 따랐다가 감금된 사례도 있었던 것으로 전해진다.


캄보디아에서 한국인을 겨냥한 범죄는 크게 증가하고 있다. 최근 5년간 캄보디아 내 납치·감금 피해 신고는 2021년 4건에서 2024년 220건으로 늘었고, 올해는 8월까지 330건을 기록했다.


경찰은 지난해부터 캄보디아 범죄 단지가 문제가 되기 시작했다고 보고 있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코트라)는 지난해 5월 '캄보디아 취업 사기, 경력 대비 지나친 고소득 유의'라는 제목의 글을 통해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텔레그램 등 SNS가 보편화되면서 취업 사기와 연계된 구인 공고를 더욱 쉽게 접할 수 있게 됐다"며 "사회 경험이 적은 취업준비생과 사회초년생은 일상에서 쉽게 불법 구인 공고를 접하는 환경에 놓였다"고 지적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해 곽금주 서울대 심리학과 교수는 뉴스1과 통화에서 "젊은 층들이 지금 그만큼 경제적으로 어려운 것 같다"면서 "취업은 힘들고 돈은 벌고 싶은 절박함이 비합리적인 사고를 부추길 수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절박함이 커지면서 피해는 생각을 못 하고 '한 달 갔다 오면 빚을 갚을 수 있다'는 쪽의 사고를 하게 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상균 백석대 경찰학부 교수는 "캄보디아뿐만 아니라 중국 자본들이 캄보디아에 들어와서 보이스피싱 조직이나 기타 사기 범죄 집단들을 운영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캄보디아를 비롯한 보이스피싱 조직이 우리 국내에 보이스피싱의 어떤 거점으로 활용되고 있다는 것은 경찰도 이미 좀 인지하고 있는 상태지만, 일반 국민들에게 그런 정보들이 잘 홍보가 안 돼 있었다"면서 "여행 위험 국가들을 알리는 것처럼 취업 사기 등 위험이 있는 국가에 대해서는 미리 정보들을 알려주는 것이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다"고 했다.


외교부는 지난 11일 설명자료를 통해 "캄보디아 내 우리 국민의 피해 사례가 증가하고 있는 근본적 이유는 캄보디아에 고수익 일자리가 있다는 이야기를 듣고 캄보디아를 방문하여 현지 온라인 스캠센터에서 일하게 된 우리 국민의 규모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외교부는 이어 "순수한 '취업 사기' 피해자 외에, 온라인 스캠이라는 사실을 알면서도 국내 가족들에게는 비밀로 한 채 자발적으로 가담하는 사례가 많다"며 유의를 당부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뉴스포커스

한인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