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인 영주권자 김태흥씨 샌프란공항서 8일째 억류

35년간 미국 거주한 박사과정 연구자, 변호사 조력도 차단돼

 

미국에 35년째 거주 중인 한인 영주권자가 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SFO)에서 연방 당국에 의해 억류된 채 8일째 감금 상태에 놓여 있다. 시민단체들은 즉각 석방을 요구하고 나섰다.

워싱턴포스트와 시민단체들에 따르면, 텍사스에 거주하는 김태흥(40.사진 맨 오른쪽)씨는 지난 21일 한국에서 귀국해 샌프란시스코 공항에 도착한 직후, 세관국경보호국(CBP)에 의해 ‘2차 심사’ 명목으로 구금됐다. 현재까지 변호사 접견 없이 밀폐된 공간에 단독 감금돼 있으며, 가족과도 단 한 차례 짧은 통화만 허용됐다.

김씨는 5세 때 부모를 따라 미국에 이민 온 합법적 영주권자다. 현재 텍사스 A&M대학에서 박사과정 중으로 라임병 치료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그는 동생 결혼식 참석차 한국을 방문했다 귀국하던 길이었다.

이민 당국은 김씨의 구체적 구금 사유를 밝히지 않고 있으며, 변호인단은 “헌법상 보장된 변호사 조력권조차 차단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씨는 2011년, 14년 전 마리화나 소지로 기소돼 지역봉사 명령을 수행한 전력이 있다. 그러나 처벌은 이미 종료되었고, 이후 별다른 법적 문제가 없었다.

김씨는 현재 만성 천식을 앓고 있으며, 공항 구금시설에서 제대로 된 치료나 식사, 수면도 보장받지 못하고 있는 상태로 전해졌다. 변호인은 “24시간 불이 켜진 방에서 의자에 누워 잠을 자야 했으며, 햇볕을 본 시간은 단 한 번도 없었다”고 전했다.

미주한인봉사교육단체협의회(NAKASEC)와 이민자방어프로젝트(IDP)는 “김씨는 미국 내 아시안 커뮤니티 전체를 상징하는 사례”라며 “그의 부당한 구금은 이민자와 시민의 권리를 동시에 위협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연방이민당국(CBP·ICE)에 김 씨의 즉각 석방과 귀가를 촉구하고 있다.

김씨의 어머니는 “우리는 미국이 공정과 자유의 나라라 믿고 이민을 왔다. 아들이 단지 시민권자가 아니라는 이유로 이렇게 부당하게 대우받아선 안 된다”고 호소했다.

변호인단은 이번 사건이 “트럼프 행정부의 반이민 기조가 인권과 헌법을 위협하는 전형적 사례”라고 비판하며, “35년간 미국에 거주해 온 영주권자에게조차 헌법이 적용되지 않는다는 말을 들었다는 사실이 충격적”이라고 밝혔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애틀 뉴스/핫이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