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망함은 잠깐일 뿐"…트럼프 홀리는 '아첨 외교' 표준 됐다

말레이시아, 전투기 호위·노벨상 추천·호화 환영식 벌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방문하는 국가마다 호화로운 환영식과 노벨상 추천, 그리고 전투기 호위 등 극진한 대접을 받고 있다. 그의 비위를 맞춰 관세와 국방비 협상에서 조금이라도 나은 조건을 얻기 위한 몸짓으로 풀이된다.

26일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이날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린 정상회의에서는 각국 지도자들이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환영하기 위해 써온 외교적 '매뉴얼'이 다 이용됐다.

최근 트럼프 대통령의 해외 순방에서는 전투기 호위, 군인과 전통 무용수의 레드카펫 환영, 노벨평화상 추천 언급 등 과시적 의전이 반복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압도적인 경제력과 군사력을 활용해 각국에 압박을 가하며 양보를 끌어내는 방식으로 외교적 영향력을 행사해 왔다.

이번 아시아 순방 첫 방문지인 쿠알라룸푸르 방문에서도 말레이시아 정부는 F-18 전투기를 동원해 대통령 전용기를 호위했고, 안와르 이브라힘 총리는 군인과 무용수들과 함께 공항에서 직접 트럼프 대통령을 맞이했다. 트럼프 대통령도 축하 행사에 참여하여 주먹을 불끈 쥐고 음악 리듬에 맞춰 몸을 흔들고 말레이시아와 미국 국기를 동시에 흔들었다.

화려한 환영식에 기분이 좋아진 듯 트럼프 대통령은 안와르 총리를 자신의 전용 리무진 '더 비스트'에 초대해 함께 아세안 정상회의장으로 이동했다. 안와르 총리는 "의전 규정상 동승은 금지돼 있지만, 대통령은 규칙을 깨는 것을 즐거워했다"고 말했다.

이후 진행된 캄보디아와 태국 간 평화 합의 서명식에서는 캄보디아 훈 마넷 총리가 트럼프 대통령을 노벨평화상 후보로 추천했고, 안와르 총리는 "대통령의 끈기와 용기"를 치하했다. 국경 분쟁으로 충돌했던 두 나라는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협상 중단을 경고하자 말레이시아 중재 하에 이번 협상을 이뤄냈다.

WSJ은 이런 모습이 올해 초 중동에서 트럼프 대통령을 환영했던 상황을 연상시킨다고 했다. 여러 국가 관계자에 따르면, 회담 성공을 위해 세계 각국은 트럼프 대통령과 주변 인사들의 발언을 주의 깊게 살피고 대통령의 호감을 살 만한 주제를 찾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쟁 종료에 대한 자신의 노력에 대해 "나는 그걸 좋아한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미라고는 할 수 없다. 취미보다 훨씬 더 진지한 일이니까. 하지만 내가 잘하는 일이고, 좋아하는 일"이라고 설명했다.

서명식 후 기자회견에서 태국 외무장관 시하삭 푸앙켓케오는 이 협정이 태국과 캄보디아 간의 수 세기 동안 이어져 온 국경 분쟁을 해결하는 평화 조약은 아니고 "평화를 향한 길"이라고 할 수 있는 '공동 선언'이라고 애써 의미를 축소했다.

또 이 합의가 '제삼자 중재'의 결과가 아니라고 말하며 미국의 역할도 애써 축소했다. 열렬한 환영과는 별도로, 중국을 자극하거나 국내에서 '외세에 휘둘렸다'는 비난을 피하기 위한 말로 풀이된다.

트럼프 대통령의 다음 일정은 일본이다. 27일에는 나루히토 일왕을 예방하고, 다음 날에는 새로 취임한 다카이치 사나에 총리의 환영을 받고, 주요 경제인들과의 만찬에도 참석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한국은 수도가 아닌 부산에서 트럼프 대통령을 맞이하게 된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정상회담이 30일 부산에서 열리기 때문이다. 이후 트럼프는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 참석할 예정이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애틀 뉴스/핫이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