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세뿐인가 싶더니…트럼프 '사업가식' 협상술, 가자 돌파구 열어

BBC "아이비리그 외교는 아니지만…가자 사례서 효과"
WSJ "고위험 사업 거래와 비슷…세부 내용 조율 관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파격적인 사업가식 협상술이 가자지구 분쟁에서 기존 틀에 박힌 외교로는 찾을 수 없던 돌파구를 마련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2023년 10월 발발한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의 가자 전쟁은 트럼프 대통령의 중재로 2년 만에 실마리를 찾았다. 이스라엘 내각이 10일(현지시간) 휴전 합의안을 승인하며 트럼프의 평화 구상을 실현하기 위한 조치에 속도가 붙고 있다.

BBC방송은 "트럼프 대통령의 독특한 협상 스타일이 교착 상태를 깼다"며 "비정통적인 파격적 방식이 여전히 충격적이지만 처음에는 허세나 과장으로 시작한 것이 점차 정형화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매체는 "아이비리그(미국 명문 대학 연합)에서 외교를 가르치는 방식과는 다르지만 적어도 현재 이번 사례를 놓고는 효과가 입증됐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개인적인 친분을 이용해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를 움직였다. 먼저 주미 이스라엘 대사관 예루살렘 이전과 이란 공습 지원 등 노골적인 친이스라엘 행보로 그를 감싸 안았다.

이는 막후에서 이스라엘을 압박할 수 있는 발판이 됐다. 트럼프는 이스라엘이 카타르나 시리아를 공습해 확전 위험이 번질 때마다 이스라엘에 노선 변경을 압박했다.

조 바이든 전 미국 대통령에게는 꿈쩍도 하지 않던 네타냐후 총리는 트럼프 대통령의 말을 들었다. 카네기 국제평화재단의 에런 데이비드 밀러 연구원은 "미국 대통령이 이스라엘 총리에게 '말을 듣지 않으면 안 된다'고 직접 경고한 전례는 없었다"고 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4월 7일(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에서 방미 중인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회담 중 악수를 하고 있다. 2025.04.08 ⓒ AFP=뉴스1 ⓒ News1 우동명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4월 7일(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에서 방미 중인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회담 중 악수를 하고 있다. 

 

부동산 재벌인 트럼프 대통령이 사업을 통해 중동에 구축한 연줄도 가자지구 합의 성사에 한몫했다. 집권 1기 때부터 공들인 '아브라함 협정'(이스라엘과 아랍국들의 관계 정상화)은 트럼프 대통령의 가자지구 평화 구상에 대한 역내 지지를 끌어모으는 발판이 됐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트럼프 대통령이 가자지구 종전 협상을 위해 맏사위 재러드 쿠슈너와 스티브 위트코프 중동 특사를 활용한 점에도 주목했다. 두 사람 모두 부동산 사업가 출신이다.

WSJ은 "트럼프는 실무 전문가보다 협상가를 선호한다"며 "이들의 접근법은 종종 제로섬(모두가 손해) 게임으로 전락해 버리는 전통적인 중동 협상의 지루하고 세부 사항에 집중하는 패턴을 깨뜨렸다"고 분석했다.

가자지구를 둘러싼 트럼프 팀의 협상이 '고위험의 사업 거래'와 비슷했다는 평가다. 트럼프는 가자지구를 자유 지대이자 중동의 '리비에라'(지중해식 휴양지)처럼 만들고 싶다는 의사를 밝힌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중재한 가자 평화구상은 즉각 휴전과 인질 전원 석방, 하마스 무장 해제, 트럼프가 수장인 평화위원회의 임시 통치, 이스라엘군의 단계적 철수 및 국제안정화군(ISF) 배치 등 20개 항목을 골자로 한다.

WSJ은 트럼프의 가자 합의를 놓고 "외교관들이 무대 뒤에서 분쟁 당사자들 간 이견을 조율한 뒤 정상들이 나와 합의를 발표하는 전통적인 국제 분쟁 해법을 완전히 뒤집었다"고 설명했다.

매체는 "일단 승리를 선언하고 세부 내용을 채워 놓도록 하는 전략이 현재로선 효과를 내고 있다"면서도 미국 고위 관계자를 인용, "협상단이 합의의 빈틈을 메우기 위해 분투하고 있는 만큼 여전히 일이 잘못될 가능성도 크다"고 지적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애틀 뉴스/핫이슈

한인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