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 당일 군 병력 1644명 투입…방첩사, 고무탄·가스총 무장도

12·3 비상계엄 사태 당시 출동 대기한 군 병력이 1600명을 웃돈 것으로 확인됐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12일 담화에서 "질서 유지에 필요한 소수의 병력만 투입했다"라고 말한 것과 배치된다는 지적이 나온다.

14일 안규백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군 관계자로부터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3일 계엄 선포 당시 국회 등 주요 거점 장악을 위해 편성된 군 병력은 △수도방위사령부 211명 △육군 특수전사령부 1090명 △ 국군방첩사령부 328명 △정보사령부 15명 등 총 1644명이다.

구체적으로 수방사 소속 군사경찰단 75명과 1경비단 136명이 국회에 투입됐고 특전사 소속 707특수임무단 197명, 1공수여단 400명, 3공수여단 271명과 9공수여간 222명이 국회와 민주당사,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과천청사, 여론조사 꽃 본사 등지에 뿔뿔이 투입됐다.

방첩사는 6개 조 328명으로 편성돼 수원 선관위와 국회 등지에 투입됐는데, 이들 요원 일부는 공포탄뿐만 아니라 고무탄 총과 가스총으로 무장한 채 출동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이 밖에도 정보사 요원 8명과 '북파 공작부대'라고 불리는 HID 요원 7명이 미상의 장소로 투입됐다.

안 의원은 "방첩사가 계엄 성사를 위해 2격·3격 대비 인원까지 치밀하게 설계한 정황이 드러났다"라면서 "방첩사의 사건 축소·은폐 흔적이 감지됨에 따라 관련자에 대한 엄정한 조사와 증거보전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안규백 의원실 제공) (안규백 의원실 제공)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애틀 뉴스/핫이슈

목록
목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