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셰어해야…수익 40% 주기로" 김건희 육성, 도이치 재판서 재생

증권사 전 직원 "도이치 거래 기간, 김 여사에 거의 매일 현황 보고"
강혜경 "명태균, 김건희 만나 여론조사비 대신 김영선 공천 받아와"

 

김건희 여사의 자본시장법 위반 혐의 두 번째 공판에서 '사이버 쪽 사람들'에게 수익의 40%를 나눠줘야 한다는 김 여사의 음성 녹취파일이 공개됐다. 김 여사의 계좌를 관리했던 전(前) 증권사 직원이 도이치모터스 주식 거래 기간 김 여사에게 거의 매일 주식 현황을 보고 했다고 증언했다.

'명태균 게이트'를 폭로한 강혜경 씨는 명 씨가 김 여사에게 선거 관련 여론조사 비용을 받으러 가 김영선 전 국민의힘 의원의 공천 약속을 받아왔다고 증언했다.

"내가 40% 주기로 했어" 김 여사 통화 녹취 공개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7부(부장판사 우인성)는 15일 자본시장과금융투자업에관한법률위반 등 혐의로 기소된 김 여사의 2차 공판기일을 열었다.

이날 오전 재판에는 김 여사의 미래에셋증권 계좌 4개를 관리했던 박 모 씨가 증인으로 출석했다.

박 씨는 도이치모터스 거래가 있었던 2010년 무렵 김 여사에게 거의 매일 주식 잔고 및 매매 현황을 보고했다고 증언했다.

특검팀이 "피고인은 2010년 10월부터 2011년 1월까지 HTS(홈트레이딩시스템)로 도이치모터스 등 주식을 거래하는 동안에도 증인과 꾸준히 연락하면서 주식 잔고, 일일매매 등을 확인했고 증인은 거의 매일 피고인에게 보고한 것으로 확인되는데 그런 사실이 있느냐"고 묻자, 박 씨는 "네"라고 답했다.

이 기간 김 여사와 박 씨가 했던 통화 녹취들도 법정에서 재생됐다. 2010년 11월 통화에서 김 여사는 박 씨에게 "저쪽, 사이버 쪽 하는 사람들이 이게 다 되잖아. 어느 증권 사고팔고 다 알더라고"라고 말했다.

특검팀은 "증인은 서울고검 조사 과정에서 '사이버 쪽 사람들'은 외부 작전 세력이라고 생각되고, 작전 세력이 여기저기 계좌 깔아두면 증권사 보면서 어디서 주문 나오는지 파악돼서 정보(를) 주고받으면서 매매하죠'라고 답변했느냐"고 물었다. 이에 박 씨는 "비슷한 얘기를 한 것 같다"고 말했다.

다른 통화 녹취에서 김 여사는 "셰어(share)를 해야 해서", "거기서 내가 40% 주기로 했어", "거기서 달라는 돈이 2억7000(만 원)이에요"라며 '사이버 쪽 사람들'과 이익을 나눠야 한다는 내용을 언급했다.

박 씨는 김 여사가 사이버 쪽 사람들에게 블록딜 수수료를 제외하고 남은 이익금 40%를 주기로 약정했으며, 2억 7000만 원 금액이 제대로 계산된 게 맞느냐고 확인한 것이냐는 특검의 질문에 "그렇다"고 답했다.

강혜경 "명태균, 김 여사에 여론조사비용 받으러 가"

오후에는 강 씨가 증인으로 출석했다. 강 씨는 명 씨가 실질적으로 운영하던 여론조사업체에서 근무했고, 김 전 의원의 회계책임자로 일한 인물이다.

강 씨는 2022년 3월 중순 명 씨의 지시로 '대선조사비용 집계표' 엑셀 파일을 작성한 적이 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특검팀이 '명 씨가 선거 관련 여론조사 비용을 피고인 김건희에게 받아올 테니 정리해달라고 요청했느냐'고 묻자, 강 씨는 "네"라고 답했다.

강 씨는 명 씨가 해당 파일 출력물을 지참해 김 여사를 만나러 서울에 갔다면서 "김 여사를 만나서 돈을 받으러 갔다 온다고 생각했다"고 증언했다.

강 씨는 앞서 언론 인터뷰 등에서 명 씨가 여론조사 비용을 받으러 서울에 가서 돈을 안 받아오고 김 전 의원의 공천을 받아왔다고 발언한 바 있다.

강 씨는 '여론조사 대가가 김영선 전 의원의 공천이냐'는 특검팀 질문에 "네"라고 했다.

'그로 인해 명 씨가 얻는 이익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강 씨는 "국가산단 등이 들어오면 명 씨가 직접 관여하려고 했다"며 "김 전 의원의 힘으로 달성되는 건이 많고, 그 이득을 취득하려고 한 것"이라고 답했다.

김 전 의원의 정치적 재기를 도와 당선시키면, 명 씨가 그 공로를 통해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지위를 인정받고, 부차적으로 경제적인 이익을 얻으려 했다는 게 강 씨의 설명이다.

강 씨는 이날 공표 전 여론조사 결과를 김 여사에게 미리 제공한 적이 있다고 했다.

또 명 씨가 윤석열 전 대통령에게 유리한 결과가 도출되도록 유·무선 비율을 변경하는 등 여론조사 방식을 바꾸라고 지시했다고 증언했다.

강 씨는 "(명 씨가) 유선을 늘려야 보수 응답이 늘어난다고 했다"고 말했다. 또 20대 대선과 관련한 여론조사를 조작하면서 "20대, 30대에서 윤 전 대통령은 올리고 홍준표 전 대구시장은 내리는 식"의 구체적인 조작이 있었다고 했다.

김 여사는 2010년 10월~2012년 12월 권오수 전 도이치모터스 회장, 계좌관리인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먼트 대표 등과 공모해 고가 매수·허수 매수·통정매매 등으로 8억1144만여 원의 부당이득을 얻은 혐의로 기소됐다.

2021년 6월~2022년 3월 윤 전 대통령과 공모해 명 씨로부터 총 2억7000만 원 상당의 여론조사를 무상으로 제공받은 혐의도 있다.

지난 2022년 4~7월 전 씨와 공모해 통일교 측으로부터 청탁을 받고 영국 그라프사 다이아몬드 목걸이와 샤넬 백 등 합계 8000만 원 상당의 금품을 받은 혐의도 적용됐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뉴스포커스

목록
목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