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상무 "日 대미투자 788조 절반 이상 전력·에너지 개발에 투입"

"일본 전력·조선 기업 대미 투자 검토…올해 안에 첫 번째 사업 결정"
"알래스카 LNG 개발에 사용될 수도…美입국자에 상무부가 비자 발급할 것"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이 27일 일본이 미국에 약속한 5500억 달러(약 788조 원) 규모의 대미 투자금 절반 이상을 전력 사업과 에너지 개발에 투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러트닉 장관은 이날 니혼게이자이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일본의 대미 투자금 사용처에 대해 "발전소나 송유관 등 리스크가 거의 없는 인프라에 자금을 투입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일본의 전력 및 조선 등 10~12개 기업이 이미 대미 투자 사업 검토에 착수했으며 올해 안에 첫 번째 사업이 결정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러트닉 장관은 "일본과 미국의 경제 안보를 위한 공동 투자이며 첫 번째 프로젝트는 전력 분야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신문은 일본 기업들이 가스터빈, 변압기, 냉각 시스템 등을 공급해 데이터센터 확대로 수요가 늘고 있는 미국의 발전 능력을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러트닉 장관은 투자금이 알래스카주의 액화천연가스(LNG) 개발 프로젝트에 사용될 가능성도 시사했다.

러트닉 장관은 "대규모 사업이지만 일본이 참여하면 LNG 인수권을 확보하게 되어 에너지 면에서 자립할 수 있게 된다"고 말했다.

러트닉 장관은 지난달 미국 조지아주 내 현대자동차와 LG에너지솔루션의 합작 배터리 공장에서 한국인 구금 사태가 발생하면서 일본을 비롯한 글로벌 기업들이 대미 투자를 우려하고 있는 것에 대해 "공장 건설이나 미국 내 연수 등을 통해 입국을 희망하는 직원 명단을 제출하면 상무부가 직접 비자를 발급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미국의 비자 발급은 국무부 소관이지만 앞으로 외국 기업의 대미 투자를 담당하는 상무부가 비자 발급에도 관여해 투자가 신속히 이뤄지도록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미국이 반도체와 의약품 등에 추가 관세 부과를 검토 중인 가운데 러트닉 장관은 품목별 관세가 도입되더라도 일본산 반도체와 의약품에는 "세율을 15%로 유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애틀 뉴스/핫이슈

목록
목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