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서 가장 행복한 나라는 '휘바휘바' 핀란드…한국은?
- 23-03-21
韓, 팬데믹 기간 중 행복도 세계서 57위
보고서 저자, "사람은 1등이 되기보다 누군가를 돌볼 때 더 만족해"
핀란드가 6년 연속 세계에서 가장 행복한 나라 1위에 올랐다. 세계 평균 행복도는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회복된 것으로 나타났다.
갤럽 세계여론조사가 발간한 '세계 행복 보고서'의 2020~2022년 3년간 평균 행복도 순위에 따르면 한국은 57위에 그쳤다. 세계 국내총생산(GDP) 10위권 국가로 따지면 9위로, 간신히 꼴찌는 면했다.
핀란드를 제외한 전체 상위 10권에는 덴마크(2위)·아이슬란드(3위)·스웨덴(6위)·노르웨이(7위)·스위스(8위) 등 북유럽 국가들이 포진돼 있다.
주요 7개국(G7)으로는 캐나다(13위)·미국(15위)·독일(16위)·영국(19위)·프랑스(21위)·이탈리아(33위)·일본(47위) 순으로 행복도가 높았다.
CNN은 매년 상위 20위권에 드는 나라는 비슷한 편이지만 올해는 리투아니아(20위)가 새롭게 등장했다고 전했다. 반면 가까스로 20위에 들었던 프랑스는 21위로 밀려났다.
순위는 건강 기대 수명·1인당 GDP(국내총생산)·사회적 지원·사회 구성원 간 관대함·삶은 중요한 결정을 내릴 수 있는 자유 등을 기준으로 정해졌다.
전쟁 중인 우크라이나는 92위,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는 70위를 기록했다.
세계 행복 보고서 저자 중 한 명인 존 헬리웰은 "이 어려운 시기에도 긍정적인 감정이 부정적인 감정보다 두 배 더 컸으며, 사회를 긍정적으로 유지하려는 감정이 외로움보다 두 배 더 강했다"고 분석했다.
세계 평균 행복도는 팬데믹 이전인 3년 전 수준을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헬리웰은 CNN에 사람들은 "1등이 되는 것보다 누군가를 돌볼 때 더 자기 만족감을 느낀다"고 말했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N 제휴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목록시애틀 뉴스/핫이슈
한인 뉴스
- 미주한인회 서북미연합회, 한국 법무법인 성현과 협약 체결
- 타코마한인회 내년도 새 회장 뽑는다
- 저스틴 오군, 브라이트라이트스쿨 리더십상 및 장학금 수상
- [시애틀 재테크이야기] 오래 살 수 있는 이유
- [시애틀 수필-이 에스더] 핑퐁 핑퐁
- [신앙칼럼-허정덕 목사] 인생의 풍랑을 만날 때
- 시애틀문학회 협회지 <시애틀문학>18집, 한국문인협회 ‘우수 문학지’로 선정
- 김필재 대표 이끄는 금마통운, 시애틀방문으로 새 도약 다짐
- [하이킹 정보] 워싱턴주 시애틀산악회 토요정기산행
- [하이킹 정보] 시애틀산우회 11일 토요정기산행
- [하이킹 정보] 워싱턴주 대한산악회 11일 토요산행
- 시애틀 한인마켓 주말쇼핑정보(2025년 10월 10일~10월 16일)
- 샛별, 알래스카 앵커리지서 개천절 축하공연
- 시애틀통합한국학교, 올해 으뜸봉사상 시상식 열어
- 성김대건 한국학교, 개교 35주년 및 추석·한글날 기념 행사 성료
- US메트로뱅크,SBA 대출실적 두배 이상 증가
- 성김대건 한국학교, 개교 35주년 및 추석·한글날 기념 행사 성료
- 시애틀한국교육원, 책 향기 가득한 ‘단풍빛 독서주간’ 운영
- 워싱턴주 고속도로 곳곳 낙서범 잡고보니 한인이었다
- 제12회 한반도 포럼, 워싱턴대에서 열린다
- 벨뷰통합한국학교 전교생이 함께한 한가위 큰잔치
시애틀 뉴스
- 아마존, 연말 앞두고 25만명 대규모 채용… “시간당 최대 30달러”
- 워싱턴주 첫 서리… 본격적인 가을 추위 시작
- 시애틀 매리너스 선수들 "아직 끝나지 않았다"각오
- 경찰 총격으로 부상 입은 타코마 남성에 175만달러 합의금
- 美국토안보장관, 공항들에 "셧다운 민주당 탓" 영상 틀려다 퇴짜
- 시애틀 매리너스, 적지서 ALCS 2연승…첫 월드시리즈 보인다
- "애완견 맡겨놨더니 발로 차서 죽였다"
- 시택공항, 국토안보부 장관 영상 상영 거부…“정치적 내용 포함돼”
- 포틀랜드서 나체 자전거 시위…“트럼프의 연방군 투입 반대” 외쳐
- 시애틀 시혹스, 잭슨빌 제압하며 4승 챙겼다
- 시애틀 매리너스, 사상 첫 월드시리즈가 보인다
- 시애틀 매리너스, 토론토에 3-1 역전승…ALCS 1차전 기선제압
- 타코마 이민자 구금센터, 비위생적 식사·열악한 의료 논란 확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