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규-비정규직 임금차 '역대 최대' 181만원…고령층 비정규직 300만명 돌파

정규 389만-비정규 208만원…시간제 제외 비정규직 임금은 첫 300만원 넘어
60세 이상 비정규직 23만명↑…사상 첫 300만명 돌파

올해 비정규직 근로자가 11만 명 늘고, 정규직과의 임금 격차는 181만 원에 육박하며 역대 최대로 벌어졌다. 60세 이상 고령층 비정규직은 사상 처음으로 300만 명을 넘어섰다.

국가데이터처가 22일 발표한 '2025년 8월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 8월 기준 전체 임금근로자는 2241만 3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27만 명 증가했다.

이 가운데 정규직 근로자는 1384만 5000명으로 전년보다 16만 명 늘었고, 비정규직 근로자는 856만 8000명으로 11만 명 증가했다.

이에 따라 전체 임금근로자 중 비정규직 근로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38.2%로 전년과 동일했다. 해당 비중은 2021년 38.4%를 기록한 이후 2022년 37.5%, 2023년 37.0%로 감소했으나 지난해 다시 38.2%로 반등한 바 있다.

올해 비정규직을 근로형태별로 보면 기간제 등을 포함한 한시적 근로자는 584만 8000명으로 1년 전보다 22만 명 증가했다. 반면 시간제 근로자는 422만 9000명으로 2만 7000명, 파견·용역 등 비전형 근로자는 183만 4000명으로 7만명 각각 감소했다.

비정규직 근로자를 성별로 보면 남성은 365만 명으로 1년 전보다 3만 5000명, 여성은 491만 8000명으로 7만 4000명 각각 늘었다.

연령별로는 60세 이상이 304만 4000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전년 대비 23만 3000명 급증하며 사상 처음으로 300만 명을 넘어섰다. 60세 이상 비정규직 증가 폭은 2021년(27만 명) 이후 4년 만에 가장 컸다. 30대 비정규직도 6만 6000명 늘었다.

송준행 국가데이터처 고용통계과장은 "인구가 고령화되면서 돌봄이나 의료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늘어난 부분이 반영됐다"며 "정부의 노인 일자리 사업에 참여하는 고령층이 포함된 영향도 있다"고 말했다.

15~29세(-5만 8000명), 40대(-10만 6000명), 50대(-2만 5000명)는 비정규직 취업자가 줄었다.

산업별로는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이 175만 6000명으로 전체 비정규직의 20.5%를 차지했다. 직업별로는 단순노무 종사자(273만 6000명)가 31.9%로 가장 많았다.

일자리 형태를 자발적 사유로 선택한 비정규직 근로자 비율은 67.8%로 전년 대비 1.2%포인트(p) 상승했다.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임금 격차는 더 벌어졌다. 임금근로자의 최근 3개월(6~8월) 월평균 임금은 320만 5000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만 7000원 증가했다.

올해 정규직 근로자의 임금은 389만 6000원으로 10만 원 올랐고, 비정규직 근로자는 208만 8000원으로 4만 원 오르는 데 그쳤다.

이에 따라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임금 격차는 180만 8000원으로 더 벌어지며 관련 통계가 작성된 2004년 이후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격차는 2022년 160만 원, 2023년 167만 원, 2024년 175만 원 등으로 해마다 확대되는 추세다.

다만 국가데이터처는 비정규직 중 상대적으로 임금이 낮은 시간제 근로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커 해석에 유의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시간제를 제외한 비정규직 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은 303만 7000원으로 8만원 늘었다. 해당 통계 조사를 시작한 2004년 이래 처음으로 300만 원을 넘어선 것이다.

정규직 근로자의 사회보험 가입률은 국민연금 87.9%, 건강보험 95.0%, 고용보험 91.8% 등이었다. 비정규직 근로자는 국민연금 37.1%, 건강보험 53.2%, 고용보험 53.7% 등으로 집계됐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뉴스포커스

목록
목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