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 피해 20개 시스템, 5개 부처 대구센터 이전 본격화

장기조직혈액관리 17일·전략물자관리 내주 복구
"11월 20일까지 단계적 복구 완료…국민 불편 최소화"

행정안전부가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직접 피해를 입은 정부 시스템 중 20개 시스템의 대구센터 이전을 본격화한다. 복지부, 소방청 등 5개 부처가 이전 협의에 참여하며, 정부는 17일 대구센터에서 관계기관 협의회를 열어 세부 복구 일정을 확정할 계획이다.

김민재 행정안전부 차관은 16일 정부세종청사 중앙동 브리핑실에서 열린 제12차 중대본 브리핑에서 "(대구센터로 이전하는) 20개 시스템을 소관하는 부처는 '복지부, 소방청, 행정안전부, 기후환경에너지부, 조달청' 등 5개 부처가 된다"며 "내일 대구센터에서 기관별 복구 추진 일정과 애로사항을 공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민간 클라우드 기업들도 참석해 기술적 문제와 실무적 대응 방안을 함께 논의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이번 협의회에서는 대구센터 내 인프라 수용 여건, 시스템별 데이터 이전 절차, 부처별 복구 우선순위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현장을 직접 점검해 안정적 이전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구센터는 행정안전부가 민관협력형으로 조성한 클라우드존으로, 국가 보안 요건을 충족한 상태에서 민간 클라우드 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시설이다. 정부는 이번 이전을 계기로 민간 클라우드와 공공 인프라 간 연계운영 체계를 점검하고, 향후 '복합형 재해복구(Disaster Recovery)' 모델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어 김 차관은 전체 복구 계획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전체 709개 시스템 중 아직 복구되지 않은 384개 중 288개는 이달 말까지, 나머지 76개는 11월 20일까지 복구를 완료할 계획"이라며 "대전센터 내 타 전산실로 재배치 중인 시스템은 추가 장비 도입과 스토리지 분진 제거를 거쳐 데이터 복구를 추진 중"이라고 말했다.

또한 김 차관은 "13일부터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서비스가 복구돼 관공서 등에서 본인 인증이 가능하다"며 "복지·민원·안전 등 국민 생활과 밀접한 시스템부터 우선 복구하고 있으며, 보건복지부의 '장기조직혈액 통합관리시스템'은 17일까지, 산업통상자원부의 '전략물자관리시스템'은 다음 주 초까지 복구를 완료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장기조직혈액 통합관리시스템은 장기이식 순번과 대기자 정보를 관리하는 핵심 플랫폼으로, 전산망 마비로 인해 장기이식 우선순위 결정이 병원별 '지리적 근접도' 중심으로 임시 운영되면서 환자 불공정 논란이 제기된 바 있다.

김 차관은 "국민 생명과 안전에 직결된 시스템임에도 등급이 낮은 경우가 있어 관계부처와 협의해 등급 조정을 검토 중"이라며 "현장 점검을 강화하고 국민 불편이 장기화되지 않도록 부족한 점은 신속히 보완하겠다"고 강조했다.

브리핑 이후 진행된 질의응답에서는 전산실별 복구 상황과 향후 제도 개선 방향이 추가로 논의됐다.

이재용 국가정보자원관리원장은 "8전산실은 정상 가동 중이며, 7·7-1 전산실은 사용하지 않고 다른 전산실이나 대구센터로 이전 중"이라며 "전날(15일)까지 장비 도입을 마쳤고 OS 설치 및 시스템 검증 작업이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용석 행정안전부 디지털정부혁신실장은 백업·이중화 대책 관련 질의에 "국가 AI 전략위원회 산하 'AI 정부 인프라·거버넌스 혁신 TF'가 지난 4일 출범해 민간 클라우드 활용, 백업·이중화 등 정부 시스템 구조 개선을 논의 중"이라며 "복구 이후 정부 인프라를 재설계하는 방향으로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고 답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뉴스포커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