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취준생이 수십억 아파트…국세청, '부모찬스' 104명 세무조사

강남·한강벨트 30억 이상 초고가 주택 자금출처 전수 검증

외국인·연소자 등 편법 증여·탈세 혐의 집중…추가 세무조사도


#. 20대 취업 준비생인 A 씨는 소득이 전혀 없음에도 서울의 수십억 원짜리 아파트를 취득했다. A 씨의 부친 B 씨는 A 씨가 아파트를 취득하기 직전 보유하고 있던 주택을 수십억 원에 매각했으며, 비슷한 시기에 해외주식을 팔아 수십억 원의 차익을 실현했다. 그러나 A 씨가 증여세를 신고한 내역은 없었다. 이에 국세청은 A 씨의 아파트 취득자금 원천과 B 씨의 주택·해외주식 매각자금 사용처에 대한 거래내역 등을 검증할 예정이다.

국세청이 서울 한강벨트와 강남권의 초고가 아파트 구매자에 대해 전수 조사를 실시해, 그중 104명에 대한 세무조사에 착수했다.

국세청은 지난달 7일 부동산관계장관회의 후속 조치로 초고가 주택 거래에 대한 전수 검증을 완료하고, 탈세 혐의가 있는 총 104명에 대해 세무조사를 진행한다고 1일 밝혔다.

박종희 국세청 자산과세국장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최근 부동산 시장 상황을 틈타 편법 증여, 양도소득세 회피 등 부동산 거래와 관련된 탈세 행위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며 "현금 부자인 '부모 찬스'를 통해 주택 취득 자금을 증여받아 대출 규제를 피하고 세금도 제대로 신고하지 않는 형태가 확인되고 있으며, 가짜 거래를 만들어 비과세 혜택을 받는 등 탈세 수법 또한 지능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세청은 강남 4구(강남·서초·송파·강동구)와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 등 시장 과열 지역에서 지난해 거래된 30억 원 이상 초고가 주택에 대해 전수 검증을 실시해 자금출처가 의심되는 탈세 혐의자를 1차 선별했다.

예를 들어 본인의 소득·재산 등 상황으로 볼 때 자력으로는 취득이 어려운 서울 소재 재건축 예정 초고가 아파트를 구매한 혐의자 등이 조사 대상이다.

이 혐의자의 부모는 고소득 전문직 종사자로, 사업소득, 임대소득으로 매년 수억 원의 수입을 올리고 있으며, 100억 원대의 재산을 예금과 상가 등으로 보유하면서 같은 아파트 단지에 살고 있다.

박 국장은 해당 사례에 대해 "강남 지역의 약 60억 원대 아파트를 구매했는데, 대출은 30억 원이 넘는다"고 설명했다.

외국인이 국내 아파트와 토지를 취득하면서 증여세·법인세를 탈루한 사례(국세청 제공). 2025.10.1/뉴스1 외국인이 국내 아파트와 토지를 취득하면서 증여세·법인세를 탈루한 사례(국세청 제공). 2025.10.1/뉴스1

 

국세청은 또 고가주택을 취득한 외국인의 국내 소득·대출, 해외 송금액 등을 분석해 취득 자금이 부족한 외국인도 조사 대상으로 선정했다. 또한 부모에게 주택취득자금을 편법으로 지원받아 고가주택을 취득한 혐의가 있는 30대 이하 연소자의 자금출처도 검증할 예정이다.

아울러 고가 주택 취득을 위한 종잣돈으로 활용하기 위해 고액 전세금을 편법 증여받거나, 뚜렷한 소득 없이 고액 월세를 낸 혐의자도 조사 대상에 포함된다.

특히 2주택자가 친척·지인 등에게 주택 한 채를 서류상으로만 허위 이전한 뒤 양도차익이 큰 다른 한 채를 1세대 1주택 비과세로 신고하는 수법인 '가장매매' 탈세 의심 사례도 다수 확인했다.

박 국장은 "월세를 1000만 원 이상 냈는데, 소득이 없는 30대 법인사업자도 있다"며 "앞으로 초고가 주택 거래 및 외국인·연소자에 대한 전수 검증을 이어나가 향후 추가 분석이 마무리되는 대로 순차적으로 조사하겠다"고 강조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뉴스포커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