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원잠 기술 확보, 그 수준은?…대통령실 "처음부터 자체 건조 전제"

원자로 등 핵심 시스템도 우리가 개발해 장착…연료만 받으면 돼
한국, 20년 넘게 연구 이어와…美와 실무 협상은 '줄다리기' 예상

 

한국의 원자력추진잠수함(원잠) 건조 및 설계 역량이 소형모듈원자로(SMR) 등 주요 추진 시스템을 자체적으로 만들 수 있는 수준인 것으로 7일 파악됐다. 미국이 핵연료만 제공한다면 자체 기술만으로도 원잠 확보가 가능하다는 의미다. 정부는 2020년대 후반 건조 단계에 진입할 경우, 2030년대 중후반엔 원잠 선도함 건조가 가능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원자로 등 핵심 시스템도 우리가 개발…美서 핵연료만 받으면 돼"

대통령실 핵심 관계자는 7일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원잠 인프라 관련) 논의 처음부터 끝까지 다 한국에서 짓는 걸 전제로 얘기했다"라며 "원자로도 우리가 개발해서 장착하는 걸로 보고받았고, 거기에 맞는 정도의 핵연료를 미국으로부터 받으면 된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우린 원잠을 다 만들 수 있고, 또 그렇게 할 수 있는데 핵연료 부분은 미국이 승인해 줘야 한다고 이야기를 계속했다"라며 "우린 여기(한국)에서 짓는다는 전제로 말했지만, 미국에서 짓는 안도 추후 언급이 됐기 때문에 보시기에 혼란이 있는 것 같다"고 덧붙였다.

그는 미국의 원잠 원료 승인이 한국의 자체 농축인지, 아니면 미국으로부터의 공급인지 묻는 질의엔 "기술적으로만 말하면 우리가 농축 권한을 갖게 될 때 이를 농축해서 쓸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든다"라면서도 "연료를 자체 생산하는 것이 경제성이 있는지는 의문"이라고 답했다. 사실상 원잠 연료인 농축 우라늄은 미국 수입을 전제로 건조를 추진하는 셈이다.

해당 관계자는 미국으로부터 핵연료를 구입하게 되면 농축률은 50% 내외일 것으로 추정했다.

이 관계자는 "미 해군의 버지니아급 잠수함은 90%가량의 고농축 연료를 쓰는데, 그럼 저희가 생각하는 것보다 2배 정도 더 비쌀뿐더러 한국의 용도에도 맞지 않는다"라며 "한국의 안보 수요에 맞는 모델은 좀 더 고민해야겠지만, 한 50%(농축률의) 핵연료일 것으로 본다. SMR 개념 설계 때도 연료 형태를 상정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국, 20년 넘게 연구 이어와…美와 실무 협상은 '줄다리기' 예상

한국의 원잠 연구는 2003년 노무현 정부 시절 해군이 추진했던 '362 사업단'에서 출발했다. 당시 해군은 원잠 개발을 목표로 세웠고 국방과학연구소(ADD)와 한국원자력연구원 등이 참여해 잠수함용 소형원자로 설계를 진행했다.

이 사업은 2004년 사업단이 해체되며 공식적으로 종료했으나, 이후에도 군과 방산업계에선 기술 개발을 꾸준히 이어갔다. 박근혜 정부 때도 관련 연구가 진행됐고, 문재인 정부 때는 미국과 원잠 협의가 재개되며 한때 사업이 탄력을 받기도 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 국방 소식통은 "한국은 원잠 추진을 공식화하지 않았던 시절에도 관련 연구를 완전히 중단한 적이 없다"라며 "사업이 좌초된 뒤에도 설계와 원자로 기술 연구는 형태를 바꿔 이어져 왔고, 특히 원자로 관련 기술은 업계 자체에서도 상당 부분 축적된 상태"라고 말했다.

이처럼 기술적 토대가 갖춰졌다는 평가가 잇따르면서 정부의 '국내 건조' 추진 기조도 힘을 얻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건조 장소로 지목한 필리조선소는 상선 위주의 시설을 갖추고 있어 원잠 건설을 위한 시설을 구축하려면 수년의 시간이 필요한 데다, 여기서 만들 경우 우리 군이 '미국산 원잠'을 수입하는 형태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도 지난 6일 국회 운영위원회에서 "원잠은 우리가 건조하는 것으로 생각한다"라고 밝혔고, 안규백 국방부 장관도 5일 국방위원회에서 "우리가 30년 이상 기술 축적과 연구를 해왔기 때문에 국내에서 건조하는 게 합당하다"라고 말했다.

다만 미 행정부 내에선 한국의 원잠 도입에 대해 이견이 도출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국방부는 지난 4일 헤그세스 장관의 방한 때 "적극 지원하겠다"라는 입장을 밝혔으나 에너지와 상무부에서 다른 의견을 냈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이는 앞으로 원잠 관련 한미의 실무 협상이 수월하진 않을 것임을 시사한다. 일각에선 트럼프 대통령이 필리조선소를 지목한 상황에서 우리 정부가 국내 건조를 주장하며 협상 개시와 동시에 불협화음이 발생할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된다. 대통령실 핵심 관계자는 "안보 쪽 분야에서 논의가 조금 다시 열리는 상황"이라며 "일부 문건 조정이 필요해서 진행되는 것이라고 알고 있다"고 말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애틀 뉴스/핫이슈

한인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