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덕궁·경복궁 왕좌마다 앉은 김건희…총 9차례 개인방문

윤석열과 김건희 부부가 재임 기간 동안에 창덕궁, 경복궁, 비원 등 고궁을 총 9차례 비공식 방문한 것이 29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드러났다.


김교흥 문체위 위원장은 "총 15회 방문 중에서 공식적인 행사를 빼면 아홉 번을 개인적으로 다녀갔다"며 "고궁을 내 집처럼 왔다 갔는데 총괄했던 문체비서관이 드러난 것 이외에 전혀 모른다고 답하고 있다"고 질타했다.


앞서 김건희 씨는 종묘 망묘루에서 지인들과 편법 비공개 차담회를 열고 경복궁 근정전에 들어가 어좌(용상)에 앉는 등 국가유산 사유화 논란에 휩싸인바 있다.


양문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제보에 따르면 2023년 2월 김건희 씨가 창덕궁을 방문했을 당시 구두를 신은 채로 인정전 어좌에 앉았다"고 주장했다.


양 의원은 "2월에 창덕궁 인정전 어좌에 앉았으니 (알려진 대로) 9월에 경복궁 어좌에 못 앉을 이유가 없었을 것"이라며 "당시 고궁 해설사가 김건희 씨 방문 당시 해설한 해설 일지에 VIP라고 적혀 있었다"고 밝혔다.


임오경, 이기헌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가유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김건희 씨는 2023년 3월2일 경복궁 경내 국립고궁박물관을 방문해 제2수장고에 10여분간 방문했다.


제2수장고에는 귀중한 기록물들이 다수 보관돼 있어 출입이 통제되며 7~8단계의 보안 검색을 통과해야 들어갈 수 있다. 고궁박물관은 김씨가 방문한 제2수장고를 지금껏 공개한 바 없다.


김씨는 사흘 뒤인 3월 5일 오후 윤석열 전 대통령과 함께 고궁박물관과 경복궁을 다시 방문했다. 이들은 일반인 통제구역인 경회루 2층, 향원정, 건청궁을 차례로 들렀다.


또한 김씨는 이배용 전 국가교육위원장 등과 함께 휴궁일인 2023년 9월12일 경복궁을 방문해 국보 223호 근정전에 들어간 뒤 어좌에 앉은 바 있다. 윤 전 대통령 없이 방문했으나 경복궁 상황실 관리 일지에는 '브이아이피(VIP)'로 표기됐다.


양문석 의원은 용산 대통령실의 천장그림을 경복궁의 천정그림과 흡사하게 표현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양 의원은 "대통령실을 왕궁으로 생각한 것이 아니냐"고 꼬집었다.


한편, 이날 국감에서는 국가유산청이 서울 마포구 동교동에 있는 '서울 동교동 김대중 가옥'을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등록 예고한 것에 대해 격려도 이어졌다.


박수현 의원은 "민주주의 투쟁의 전략이 논의되고 역사적 결단이 내려진 현장에 대해 그 가치를 인정하는 조치가 취해진 것에 대해서 감사와 격려의 말씀을 드린다"며 "국가유산으로 등록이 되면 마포구 김대중 평화센터, 김대중 재단 등 유관기관과 적극적 협의를 통해 지원해달라"고 말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뉴스포커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