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쿠폰 효과에 3분기 1.2% 성장…4분기 -0.1% 넘으면 올해 1% 가능

민간소비 1.3%↑ 3년 만에 최대…정부소비 1.2%·설비투자 2.4%

내수가 1.1%p 기여…"4분기 美 관세협상·2차 소비쿠폰 효과 봐야"


올해 3분기 우리 경제가 내수 회복세에 힘입어 전분기보다 1.2% 성장했다. 특히 민생지원 소비쿠폰 등의 효과로 민간소비가 3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하며 성장률 상승을 견인했다.


수출도 미국의 관세 정책에도 불구하고 반도체와 자동차를 중심으로 증가세를 유지해 선방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따라 올해 연간 1.0% 성장 달성 여부에 관심이 쏠리는 가운데, 한국은행은 4분기 성장률이 -0.1~0.3%를 기록할 경우 올해 1%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한은은 올해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전기 대비 1.2%(속보치)로 집계됐다고 28일 밝혔다.


한은은 지난 8월 수정 경제 전망에서 3분기 성장률을 전기 대비 1.1%로 예상한 바 있다. 실제 성장률은 이를 0.1%포인트(p) 상회했다.


한국 경제는 지난해 1분기 1.2% 깜짝 성장 이후 2분기 0.2% 역성장했고, 같은 해 3~4분기에는 각각 0.1%의 저조한 성장세를 기록했다.


올해는 1분기 -0.2%를 기록한 후 반등해 2분기 0.7%를 기록했다.


이동원 한은 경제통계2국장은 이날 서울 중구 한은 본부에서 백브리핑을 열고 "수출이 앞선 2분기 높은 증가에도 불구하고 반도체, 자동차, 석유 제품 등을 중심으로 3분기 양호한 흐름을 지속했다"며 "민간 소비가 심리 개선, 소비 쿠폰 영향에 신제품 출시 효과까지 가세하면서 큰 폭으로 증가했다"고 말했다.


이어 "설비 투자가 반도체 제조용 장비, 법인용 자동차를 중심으로 증가 전환했다"며 "건설 투자가 항만, 철도 발전소 등의 착공 영향으로 감소 폭이 축소된 점도 GDP 성장률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덧붙였다.


3분기 성장률 회복은 내수가 이끌었다.


민간소비는 재화(승용차, 통신기기 등)와 서비스(음식점, 의료 등) 소비가 모두 늘어 전분기 대비 1.3% 증가했다. 성장률 1.3%는 2022년 3분기(1.3%) 이후 3년 만에 최고치다.


이 국장은 "7월 후에 카드 사용 증가율이 높아진 것은 사실이며 정확한 효과는 아직 알 수는 없지만, 소비쿠폰이 소비 개선에 영향을 준 것은 분명하다"며 "1차 소비 쿠폰이 7월 21일부터 지급됐는데 음식점, 병원, 의류, 잡화, 안경, 이·미용 등등 다양한 품목에 사용됐다"고 설명했다.


정부소비는 물건비와 건강보험급여비를 중심으로 1.2% 늘었다.


건설투자는 건물건설을 중심으로 0.1% 감소했으나, 2분기(-1.2%)보다는 감소 폭이 축소됐다.


설비투자는 기계류(반도체제조용기계 등)를 중심으로 2.4% 증가했다.


수출은 반도체, 자동차 등이 늘어 1.5% 증가했다. 수입도 기계 및 장비, 자동차 등을 중심으로 1.3% 늘었다.


내수의 성장률 기여도는 2분기 0.4%포인트(p)에서 3분기 1.1%p로 올랐다. 반면 순수출(수출-수입)은 0.3%p에서 0.1%p로 낮아졌다.


이 국장은 "결론적으로 3분기는 민간소비 등 내수가 성장을 주도했다"며 "전체 성장률 1.2% 중에 내수가 1.1%p를 기여했고, 그동안 GDP 성장률을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했던 건설투자는 이번 분기에 0.0%p 기여하면서 성장에 중립적인 역할을 했다"고 설명했다.


3분기 경제 성장이 예상을 소폭 상회함에 따라 올해 연간 성장률 1.0% 달성 여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지난 8월 한은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0.9%였다.


이번 3분기 성장률을 소수점 둘째 자리까지 보면 1.17%다. 한은은 4분기 성장률이 전기 대비 -0.1%~0.3% 사이면 연간 1% 성장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했다.


이 국장은 "4분기 성장률이 -0.1∼0.3%면 올해 연간 성장률 1%(0.95∼1.04%)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어 "미국 관세 영향에도 반도체 등 수출이 선방하고 있는데, 관세 탓에 자동차 등이 4분기 어떻게 대응할지는 지켜봐야 한다"며 "2차 소비쿠폰 효과와 안전사고 관련 공사 중단 등이 건설투자에 미칠 영향과 불확실성도 향후 경제 성장에 중요한 핵심 변수"라고 전망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뉴스포커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