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금관' 흡족한 트럼프…美토크쇼 "그렇게 왕이 좋냐" 조롱

미국 내 '노 킹스' 시위와 연결…"한국 남아서 왕이나 해라"
"포켓몬 받고 좋아하는 아이처럼…조종당하기 쉬운 대통령 부끄러워"

 

이재명 대통령으로부터 신라 금관 모형을 선물받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의 인기 토크쇼 진행자들로부터 신랄한 비판과 조롱의 대상이 됐다. 무소불위의 권위주의적 통치로 미국 내에서 대대적인 '노 킹스'(No Kings·왕은 없다) 시위를 촉발시킬 정도로 비판받고 있는 상황과 연결지은 것이다.

이 대통령은 지난 29일 국립경주박물관에서 열린 한미 정상회담에 앞서 트럼프 대통령에게 신라 천마총 금관을 본떠 특별 제작한 모형과 무궁화 대훈장을 선물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금관을 유심히 살펴봤고 "매우 특별하다"고 말했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외교부는 선물을 미국에 따로 전달할 예정이었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에어포스원(미 대통령 전용기)에 직접 실어 가겠다고 요청할 정도로 선물을 마음에 들어 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외신은 트럼프 행정부의 권위주의 정책에 반대해 미국 전역에서 전개되고 있는 '노 킹스' 시위의 주인공이 왕관 모형을 선물 받았다는 점에 주목했다.

트럼프 대통령 재집권 이후 정권에 비판적이라는 이유로 고초를 치렀거나 '축출 대상'으로 지목됐던 심야 토크쇼들 역시 이를 놓치지 않았다.

NBC '레이트 나잇'의 세스 마이어스는 "그(트럼프)가 필사적으로 갈망하는 왕실 대접을 받고 있다"며 "그는 고향에서도 같은 대접을 받고 싶어 한다. 일례로 그는 중국 권위주의 정부를 매우 질투한다는 것을 분명히 했다"고 논평했다.

CBS '더 레이트 쇼'의 스티븐 콜베어는 트럼프 대통령의 아시아 순방에 대해 "그(트럼프)는 지금도 세계를 돌아다니며 가는 곳마다 선물을 수집하고 있다"며 "그는 역(逆) 산타 같은 존재다. 그의 무릎에서 가능한 한 멀리 떨어져 있고 싶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또한 "트럼프는 그가 (북한에 이어) 두 번째로 좋아하는 한국으로 갔고, 한국 군악대는 YMCA 연주로 그를 맞이했다"며 "그게 이제는 어느 정도 트럼프의 노래라는 걸 알지만, 공식적인 대통령 행사의 중대함을 크게 깎아내린다"고 지적했다.

이어 금관 모형 선물에 대해서는 "한국인들이 아첨했다고 말하지는 않겠지만, 그들은 너무 깊이 들어가서 그의 편도 중 하나를 들이마신 것 같다"며 "그들(한국인)은 트럼프가 지금까지 갖지 못한 단 하나, 커다란 황금 왕관을 주었다"고 비꼬았다.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의 '노 킹스' 반트럼프 시위. 2025.10.18 ⓒ 로이터=뉴스1 ⓒ News1 이지예 객원기자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의 '노 킹스' 반트럼프 시위. 

 

ABC '지미 키멀 라이브!'의 지미 키멀은 미시시피 트럭 전복 사고로 실험용 원숭이들이 탈출한 소식을 전한 뒤, 트럼프 대통령을 가리켜 "한국에 화난 오랑우탄이 돌아다니고 있다"며 "황금 왕관을 포함해, 그를 기쁘게 하기 위해 어딜 가든 선물을 주고 있다"고 전했다.

키멀은 "'왕을 원치 않는다'며 수백만 명이 행진하는 걸 보고 '좋아, 선물 아이디어가 있어'라고 생각했을 것"이라며 "트럼프가 조종당하기 쉬운 것은 무척 부끄럽다. 아이들에게 포켓몬 카드를 주고 착하게 만들려고 하는 것과 같다"고 꼬집었다.

이어 트럼프가 금관을 쓴 합성 영상을 보여주며 "그냥 한국에 남아 왕이나 하면 좋겠다"고 조롱했다.

한미 정상회담의 '황금 외교'를 두고 미국민들 사이에서도 갑론을박이 오가고 있다.

온라인 커뮤니티 레딧의 한 이용자가 "한국은 도움이 안 돼"라고 불평하자, 다른 이용자는 댓글로 "미국을 돕는 것은 그들의 책임이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또 다른 레딧 이용자는 "트럼프를 설득하는 데 필요한 것이 공허한 진부함과 값싸고 화려한 선물뿐이라면 당연히 협상력 증대를 위해 그렇게 할 테고, 그러지 않으면 바보가 된다"고 분석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애틀 뉴스/핫이슈

목록
목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