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0개 의학 학술지 "기후변화 이미 건강에 악영향" 공동사설 게재

"이미 온난화와 환경파괴로 건강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2021년이 변화의 기점이 돼야 한다."

의학·보건학 및 의과학 분야 학술지들이 이같은 내용을 담은 공동사설을 6일(한국시간) 발표했다.

이번 공동사설에는 란셋(Lancet)과 뉴 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신(NEJM) 등을 비롯한 19개 학술지 편집장이 저술에 참여했으며, 220여개 학술지가 동시 게재 및 지지 의사를 표했다.

사설에서 저자들은 "지구 평균 기온 상승을 1.5도 미만으로 유지하고 자연 파괴를 중단하며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긴급 조치를 촉구한다"며 "이미 지구 기온 상승과 자연 세계의 파괴로 인해 인간의 건강 피해가 발생하고 있으며, 보건 전문가들은 수십 년 동안 (이 문제를) 주목해 오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 20년간 65세 이상 인구에서 열 질환 관련 사망률은 50% 이상 증가했다. 또 이들은 이상 고온은 탈수증, 신장 기능 이상, 열대성 감염, 알레르기, 심혈관 문제 등 질환·질병 증가로 이어졌다고 지적했다. 어린이와 노인, 기저 질환자의 경우 이러한 피해가 더 커질 수 있다.

이어 "극단적인 날씨와 토양 고갈의 영향으로 영양실조를 줄이기 위한 노력을 방해하고 있다"며 "또 자연 생태계는 인간의 건강에 필수적이며 자연의 광범위한 파괴로 전염병 유행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고 밝혔다.

생태학과 보건학에서는 인수공통감염병 증가의 한 요인으로 도시화, 농지 개발, 환경 오염, 먹이 감소 등 서식지 파괴로 인해, 야생동물이 인간 거주지로 이주·이동하는 경우가 늘어나는 것을 꼽고 있다.

2015년 메르스 음성 판정을 받은 서울대공원 낙타. 메르스가 확산 되자 서울대공원 측은 단봉낙타와 쌍봉낙타를 격리조치한 후 농림축산부 검역본부에 메르스 바이러스 감염여부를 의뢰한 바 있다.  메르스는 인수공통감염병이다. 2015.6.6/뉴스1 © News1 김명섭 기자


저자들은 "(탄소 감축 및 중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정부는 사회와 경제가 조직되는 방식과 생활 방식을 근본적으로 변화시켜야 한다"며 "많은 정부가 전례 없는 자금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전염병의 위협에 대처했다. 환경 위기에도 비상 대응이 필요하다. 당장은 막대한 비용이 들겠지만 양질의 일자리, 대기 오염 감소, 신체 활동 증가, 주거 환경 개선 등 건강상의 이익으로 돌아올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사설은 11월 영국에서 열리는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를 앞두고, 대책을 촉구하기 위해 작성됐다. COP26은 지난해 열릴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로 인해 연기됐다. 이 회의에서는 선진국과 개도국 간 기후변화 대응 분담 및 파리협정 이행 관련 논의 등 국제 사회의 기후변화 쟁점이 다뤄진다.

한편, 저자들은 '국제적 형평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이들은 "기후 변화를 덜 일으켰던 개도국과 지역사회가 이러한 위기에 더 취약한 '불균형'이 있다"며 "배출량에 대한 국가별 역사적 평가와 현재 배출량이 감축 계획에 고려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Tedros Adhanom Ghebreyesus) 세계보건기구(WHO) 사무총장은 "코로나19 팬데믹은 끝날 것이지만 기후 위기에 대한 백신은 없다"며 "IPCC 보고서에 따르면 1도 더 더워지면 우리의 건강과 미래가 위태로워진다. 온실 기체 배출과 온난화를 제한하기 위해 취하는 조치는 건강한 미래로 이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사설 저술에 참여한 에릭 루빈 (Eric J. Rubin) NEJM 편집장은 "환경과 건강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다. 변화하는 기후는 건강 및 의료 서비스 제공에 대한 중대한 영향을 포함해 여러 면에서 인류를 위험에 빠뜨리고 있다"며 "의료 및 공중 보건 종사자로서 기후 위기 대응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의무가 있다"고 밝혔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제휴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애틀 뉴스/핫이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