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A 출신 北전문가 한국계 수미 테리, 美검찰에 기소…어설픈 국정원때문에
- 24-07-17
미 검찰, 10년 동안 추적한 정황과 함께 증거 자료 공개
테리 측 변호인 "한국 정부 가혹하게 비판한 사람" 반박
미 중앙정보국(CIA) 분석관 출신인 한국계 북한 전문가 수미 테리가 외국대리인등록법(FARA) 위반 혐의로 미국 뉴욕 맨해튼 연방검찰에 기소됐다. 명품 핸드백과 고급 의류, 뒷돈 등 금품을 대가로 한국 정부에 미국의 비공개 정보를 제공한 혐의를 받는다.
현재 미국외교협회(CFR) 선임연구원인 수미 테리는 미국 정부에 신고하지 않은 채 10년이 넘게 한국 정부를 위해 일했다고 미 검찰은 31쪽 분량의 공소장에서 그를 추적한 정황과 함께 증거 자료를 상세히 공개했다.
미 검찰은 테리가 외교관 신분으로 미국에 파견된 국정원 간부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그 대가로 △2845달러 짜리 돌체앤가바나 코트 △3450만원짜리 루이뷔통 핸드백 △2950달러짜리 보테가베네타 핸드백 등을 받은 정황을 파악했다.
미국에서는 외국대리인등록법(FARA)에 따라 외국 정부의 이익을 대변하는 사람은 미 법무부에 등록하고 그 활동을 보고해야 하는데, 테리는 이를 지키지 않고 한국을 위해 일했다는 게 미 검찰의 주장이다.

일각에서는 미 수사당국이 10년간 내사를 하다가 공개로 전환한 건 일종의 '내부 단속' 차원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전현직 대외 정책 전문가들에 대해 미국 정부가 비밀 엄수에 대한 경고성 메시지를 발신했다는 것이다.
익명을 요구한 한반도 전문가는 "직무상 획득한 정보에 대한 비밀 엄수 원칙이 있다"며 "공소장 공개 배경에는 비슷한 행동을 하는 사람들에게 경종을 울리려는 목적도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테리는 2001년부터 2011년까지 약 10년 동안 미국 정부에서 일했다. CIA에서는 2001~2008년 동아시아 분석관으로 근무했으며 오바마 행정부 당시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한국·일본·오세아니아 담당 국장과 국가정보위원회(NIC) 동아시아 담당관을 지내다 2011년 공직에서 물러났다.
한국 정부와 본격적으로 접촉을 한 건 CIA를 떠난 지 5년 뒤인 2013년부터라고 미 검찰은 지적했다. 당시 뉴욕 주재 유엔 한국대표부 외교관으로 가장한 국정원 고위 간부와 만나 2016년까지 4년 동안 계속 교류한 사실이 미 수사당국에 포착됐고, 이때부터 테리는 요주의 감시 대상이 된 것이다.
미 연방수사국(FBI)은 2014년 테리를 불러 직접 인터뷰를 했는데, 미 검찰은 당시 테리가 "국정원과 접촉했냐는 질문을 받자 눈에 띄게 긴장하고, 말투도 바뀌었으며 말을 더듬었다"고 서술했다. 여기서 FBI 요원은 테리에게 "한국의 정책 전문가 집단에서 당신의 지위를 감안할 때 국정원이 또다시 접근해 정보를 요구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고 한다.

하지만 테리는 이후에도 계속 국정원 관계자들과 접촉했다는 게 검찰 측 설명이다. 5년 후인 2019년에는 국정원의 한 직원과 함께 메릴랜드주의 체비 체이스의 한 매장에서 2845달러짜리 돌체앤가바나 코트를 쇼핑했다. 결제는 국정원 직원의 카드로 했고, 구매액 적립은 테리의 명의로 했다. 이 국정원 직원은 외교관 신분을 가장하고 있어 면세 혜택도 받았다.

같은 날 두 사람은 워싱턴DC의 다른 매장에서도 보테가베네타 핸드백을 구매했다. 매장 내 CCTV 화면에는 국정원 직원이 계산을 하고 테리가 핸드백을 들고 나가는 장면이 포착됐다.
이듬해인 2020년 8월에는 또 다른 국정원 직원이 그에게 3450달러짜리 디자이너 핸드백을 포함한 금품과 고급 식사를 제공했는데, 이는 미국 정부 관계자들과의 화상 워크숍을 주선해준 것에 대한 대가였다. 2021년에는 같은 직원이 워싱턴DC의 루이비통 매장에서 3450달러짜리 핸드백을 신용카드로 결제하는 장면이 찍혔다. 테리와 이 직원은 대사관 번호판이 달린 차량에 함께 탑승해 고급 초밥집에서 식사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밖에도 2022년 6월 테리는 다른 한반도 전문가 5명과 함께 워싱턴 국무부 청사에서 열린 회의에 참석했다. 이 회의에는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을 비롯한 국무부 고위 인사들도 참석했다. 내용은 외부 유출 불가로 전제돼 있었지만 회의가 끝나자마자 테리는 국정원 직원의 차를 타고 이동했으며, 이 직원이 테리가 수기로 작성한 두 쪽짜리 메모를 찍어 갔다고 공소장은 전했다.
다만 수미 테리 측 변호인은 그가 한국 정부의 정책에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했다며 혐의를 부인했다.
리 월로스키 변호사는 성명을 내고 "테리에 대한 주장은 근거 없이 왜곡된 것"이라며 "한반도에 대한 그의 견해는 수년에 걸쳐 일관됐으며, 한국 정부를 가혹하게 비판하기도 했다. 사실이 밝혀지면 (미국) 정부가 중대한 실수를 저질렀다는 게 분명해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해 국정원 당국자는 "외국인등록법 기소 보도와 관련해 한미 정보당국은 긴밀히 소통 중에 있다"고 밝혔다.
1972년 서울 출생인 수미 테리는 12세 때 어머니와 함께 미국에 이민해 버지니아와 하와이 등지에서 거주했다. 뉴욕대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2001년 터프츠대에서 국제관계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편 기소 사실이 알려진 후 테리가 몸 담았던 CFR과 미 외교정책연구소(FPRI), 윌슨센터 등은 그에 대한 소개 자료를 홈페이지에서 삭제한 상태다. CFR은 그에게 무급 휴가를 부여했으며 모든 수사에 협조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목록시애틀 뉴스/핫이슈
한인 뉴스
- 성김대건 한국학교, 개교 35주년 및 추석·한글날 기념 행사 성료
- US메트로뱅크,SBA 대출실적 두배 이상 증가
- 성김대건 한국학교, 개교 35주년 및 추석·한글날 기념 행사 성료
- 시애틀한국교육원, 책 향기 가득한 ‘단풍빛 독서주간’ 운영
- 워싱턴주 고속도로 곳곳 낙서범 잡고보니 한인이었다
- 제12회 한반도 포럼, 워싱턴대에서 열린다
- 벨뷰통합한국학교 전교생이 함께한 한가위 큰잔치
- 아태문화센터 추석행사 개최
- 한인입양가족재단(KORAFF), 할로윈 축제 개최
- 한국학교 서북미협의회 교사 사은의 밤 및 교육기금 후원의 밤 개최
- 워싱턴주 한인미술인협회, 또다른 전시회 연다
- "한인 여러분과 떠나는 인상주의 화가들과 모네의 세계”
- 시애틀 한인들을 위한 특별재정 워크샵 열린다
- 한국 거장 감독 임순례, 시애틀 팬들과 깊이있는 만남(영상)
- 시애틀한국교육원 또 큰일 해냈다-UW과 대학생인턴십 위한 MOU체결
- 한인 줄리 강씨, 킹카운티 이민난민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됐다
- 아시아나항공 마일리지,합병 후에도 그대로 10년 더 쓴다
- 시애틀 한인마켓 주말쇼핑정보(2025년 10월 3일~10월 9일)
- 한국문인협회 워싱턴주지부, 박노현교수 초청 문학특강 연다
- 시애틀 한인업체, 올해의 킹카운티 수출소기업상 받았다
- 한인 리아 암스트롱 장학금 올해도 16명에-23년간 54만9,000달러 전달
시애틀 뉴스
- <속보> 워싱턴주청사 난입 기물파손 前 마이너리그 선수, 중범죄 기소
- "이럴 수가" 매리너스 불펜 붕괴하면서 역전패당했다
- '롤리 쐐기포' 시애틀, 디트로이트 8-4 제압…ALCS까지 1승 남았다
- 시애틀 시장 “트럼프 연방군 배치 대응”나섰다
- 시애틀여성과학자 “스팸인 줄 알고 노벨상 전화 안 받았다”
- 스타벅스 워싱턴주 직원 369명 해고 통보했다
- 아마존 오늘 내일 ‘프라임 빅딜 데이즈’-애플워치 최대 할인
- 트럼프, 시애틀에도 주방위군 투입할까?
- 시혹스 막판 어이없는 실수로 탬파베이에 패배
- 시애틀 플레이오프 홈서 1승1패로 다시 원점에서
- 워싱턴주 더이상 ‘안전한 주’아니다
- 시애틀 '빈방 나눠쓰기'로 집값·홈리스 문제 풀 수 있을까
- 시애틀 여성 과학자,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