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세건강]산책 중 만난 강아지, 쓰다듬자 '멍멍'…개물림 치료법은
- 22-03-20
상처부위 따뜻한 물과 비누로 씻고, 병원 최대한 빨리 가야
개물림 사고 연간 2000건 넘어…광견병·패혈증 일으킬 수도
산책 중 만난 강아지를 쓰다듬다거나 장난을 친다고 경계심 없이 접근했다가 크게 다치는 경우가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개 물림 사고는 연간 2000건 발생하고 있는데, 대부분 야외활동이 활발한 봄과 가을에 주로 발생한다.
20일 소방청이 공개한 '개 물림 사고 환자 119 구급이송 현황'에 따르면 개에 물린 환자 수는 2016년 2111명, 2017년 2405명, 2018년 2368명, 2019년 2154명, 2020년 2114명으로 집계됐다.
개에 물리면 상처가 작아도 세균 감염으로 진행될 수 있다. 개 물림 사고가 발생하면 가장 먼저 상처 부위를 5~10분간 흐르는 물과 비누를 이용해 씻어야 한다. 상처 부위를 문지르면 세균이 침투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소독된 거즈, 수건을 이용해 출혈 부위를 압박하고 병원에 가는 것이 좋다. 이빨자국이 선명하게 난 경우라면 병원에 가기 전 소독약을 상처 안으로 충분히 스며들도록 발라야 추가감염의 위험을 막을 수 있다.
동물의 주인이 있을 때는 동물의 병력, 광견병 접종 여부 등을 파악해두고, 진료 시 의료진에게 설명하는 것이 좋다. 애완견은 대부분 광견병 예방접종을 받기 때문에, 파상풍 예방, 세균감염 예방을 위한 치료를 받게 된다.
그러나 들개, 너구리 등 야생동물에게 벗겨지거나 긁힐 정도로 물리거나, 야생돌물이 상처 난 부위를 핥았을 경우에는 즉시 병원에 가는 것이 좋다. 야생동물의 경우에는 광견병 바이러스에 감염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농림축산검역본부에 따르면 지난 2014년부터 2019년까지 6년간 광견병이 발생한 사레는 없다. 그러나 2013년 경기 화성에서 광견병이 발생한 사례가 4차례 보고된 바 있다.
동물에 물린 직후 체내에 광견병 바이러스가 들어왔는지 확인할 수 있는 검사법은 없다. 혈액, 뇌척수액에서 의광견병 바이러스 특이항체검사, 침에서의 광견병 바이러스 핵산검출검사 등을 통해 진단할 수 있다. 야생동물에게 물렸을 경우에는 물린 장소, 야생동물의 특성, 시간 등을 기억해두고 의료진에게 설명을 하는 것이 치료에 도움이 된다. 해당 동물이 광견병에 감염됐을 가능성이 있다면, 광견병에 대한 면역글로불린과 예방백신을 접종받게 된다.
잠복기는 일주일에서 1년 이상으로 다양하지만, 평균적으로는 바이러스에 노출된 후 1~2개월이 지나면 발병한다. 머리에 가까운 부위일수록, 상처의 물린 정도가 심할수록 증상이 빨리 나타난다. 주된 증상은 두통, 무기력, 식욕 저하, 구토 등의 증상이 1일~4일 동안 나타나며, 물린 부위에 저리거나 저절로 씰룩거리는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개 물림으로 인한 패혈증, 광견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상처가 난 직후 병원에 가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의료기관에서 광견병 예방 백신 접종을 받을 수 있지만, 치료가 아닌 예방 목적일 경우 급여가 적용되지 않는다. 다만 광견병 풍토성이 있는 나라를 30일 이상 방문하는 여행자, 조련사 등은 예방접종을 맞는 것이 좋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N 제휴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목록뉴스포커스
한인 뉴스
- 한국학교 서북미협의회 교사 사은의 밤 및 교육기금 후원의 밤 개최
- 워싱턴주 한인미술인협회, 또다른 전시회 연다
- "한인 여러분과 떠나는 인상주의 화가들과 모네의 세계”
- 시애틀 한인들을 위한 특별재정 워크샵 열린다
- 한국 거장 감독 임순례, 시애틀 팬들과 깊이있는 만남(영상)
- 시애틀한국교육원 또 큰일 해냈다-UW과 대학생인턴십 위한 MOU체결
- 한인 줄리 강씨, 킹카운티 이민난민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됐다
- 아시아나항공 마일리지,합병 후에도 그대로 10년 더 쓴다
- 시애틀 한인마켓 주말쇼핑정보(2025년 10월 3일~10월 9일)
- 한국문인협회 워싱턴주지부, 박노현교수 초청 문학특강 연다
- 시애틀 한인업체, 올해의 킹카운티 수출소기업상 받았다
- 한인 리아 암스트롱 장학금 올해도 16명에-23년간 54만9,000달러 전달
- 한인생활상담소 "미국 시민권 무료신청 해드립니다"
- 페더럴웨이 통합한국학교 추석 ‘한가족 한마당’ 성황리에 개최
- 시애틀통합한국학교, 송편 만들기 등 성대한 추석행사 열어
- 상담소 "10월20일부터 바뀌는 시민권시험 이것은 아셔야"
- <속보> 故이시복 목사 돕기 모금액 1만4,000달러 넘어서
- 린우드 한식당 아리랑2.0, 추석패키지 50개 한정 판매한다
- 서북미문인협회 소속 김지현씨 재외동포문학상 수필 대상
- 시애틀 한인 여대생, 미국 대통령 장학생 최종 선발 화제
- [시애틀 재테크이야기] 띠리리 리리리~~ 영구 없다
시애틀 뉴스
- 시혹스 막판 어이없는 실수로 탬파베이에 패배
- 시애틀 플레이오프 홈서 1승1패로 다시 원점에서
- 워싱턴주 더이상 ‘안전한 주’아니다
- 시애틀 '빈방 나눠쓰기'로 집값·홈리스 문제 풀 수 있을까
- 시애틀 여성 과학자,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했다
- 보험료 너무 비싸 시애틀 중산층도 무보험 전락
- 시애틀 편의점서 아이스크림·맥주 훔치고 개줄로 직원 폭행
- 오리건 포틀랜드 정치적 갈등에 중심에 서다
- 긱하버 보석 ‘S하우스’ 750만 달러에 매물로 나왔다
- 시애틀지역 배송업체기사가 우편배달부에 총격
- 알래스카항공, 매리너스 팬들 원정 응원 위해 특별항공편 제공
- 시애틀 최고 식당, 이젠 어떤 방향으로 가나?
- 스타벅스 시애틀명소 리저브 로스터리까지 폐점한 이유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