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 8억 이용자 기반 '검색 생태계' 재편 시도
구글 크롬에 제미나이 탑재·퍼플렉시티 코멧 등 경쟁 돌입
오픈AI가 인공지능(AI) 웹브라우저 '챗GPT 아틀라스(ChatGPT Atlas)'로 구글의 검색·브라우저 '크롬'에 도전장을 던졌다.
오픈AI는 22일(현지시간) 웹사이트와 X(옛 트위터)·유튜브 채널 등을 통해 자체 개발한 웹 브라우저 챗GPT 아틀라스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오픈AI는 그간 크로미움 기반 웹 브라우저인 '아우라'(Aura·코드명)를 테스트해 왔다.
오픈AI는 "아틀라스는 이용자에게 개인화된 웹 환경을 제공하고 실제 작업까지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한 브라우저"라며 "항공권 예약, 문서 작성, 이메일 작성 등 단순 검색을 넘어 이용자가 요청한 업무를 직접 처리하는 AI 에이전트형 서비스"라고 말했다.
이용자가 아틀라스 내에서 특정 웹페이지를 열면 챗GPT가 내용을 인식해 자동으로 도움을 제공한다. 영화 리뷰 사이트를 방문하면 요약본을 보여주고 요리 레시피를 검색하면 온라인 재료 주문을 지원하는 식이다.
모든 기능은 브라우저와 AI 챗봇이 통합 작동하는 구조다. 기존 검색·탭 중심의 브라우징 개념을 전환시키는 것이 핵심이다.
샘 올트먼 오픈AI CEO는 "챗GPT를 중심으로 구축한 완전히 새로운 형태의 AI 웹브라우저"라며 "AI는 브라우저를 다시 정의할 수 있는 10년에 한 번 오는 기회"라고 말했다.
오픈AI는 우선 전 세계 맥(Mac) 운영체제용 아틀라스를 제공한다. 이후 윈도우·아이폰(iOS)·안드로이드 버전 등을 순차적으로 출시할 예정이다.
아틀라스 내 AI 에이전트 기능은 유료 이용자인 챗GPT 플러스·프로 구독자에게만 제공한다.

챗GPT 아틀라스 공식 출시로 AI 브라우저 경쟁이 치열해질 전망이다.
빅테크들은 AI 시대 '쌀'로 비유되는 데이터를 대규모로 확보하기 위해 브라우저 경쟁을 본격화하고 있다.
RAG 기술 스타트업 퍼플렉시티AI는 올해 7월 AI 웹 브라우저 '코멧'(Comet)을 선보였다. 마이크로소프트(MS) 경우 엣지에 '코파일럿 모드'를 적용했다.
구글은 지난달 크롬에 AI 모델 '제미나이'(Gemini)를 통합·탑재했다.
업계 관계자는 "일반 이용자에게 자신의 AI 에이전트를 확산하려면 자체 브라우저가 필요하다는 전략적 판단도 깔렸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