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수, 유전 맞다"…117세 최고령자 건강비결 '요구르트·비흡연'도

'장수 유전자' 있었다

평생 흡연·음주 안 해…꾸준한 사회적 교류 또한 비결


117세까지 장수한 세계 최고령자 스페인 여성 마리아 브라냐스 모레라의 장수 비결은 '유전적 요인'과 '건강한 생활 습관'이라는 연구가 나왔다.

24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에 따르면 스페인 조제프 카레라스 백혈병연구소 연구진은 브라냐스가 사망하기 1년 전 채취한 혈액·타액·소변·대변 샘플을 분석했다. 연구는 브라냐스가 세상을 뜨기 전 본인의 제안으로 이뤄졌다.

연구에 따르면 브라냐스에게는 뚜렷한 노화 징후가 있었다. 염색체 말단의 보호막인 텔로미어는 극도로 짧았고, 면역 체계도 노화로 인한 염증 반응과 백혈병 위험 요인을 나타냈다.

그러나 연구진은 그녀의 유난히 짧은 텔로미어가 세포 분열을 제한해 암 발생을 억제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DNA 분석에서는 심장과 뇌세포를 질환과 치매로부터 보호하는 유전자 변이가 확인됐다. 전신의 염증 수치가 낮아 암·당뇨병 위험이 낮았다. 콜레스테롤과 지방 대사도 원활했다.

또한 연구진은 장수 요인으로 '건강한 생활 습관'을 지목했다. 브라냐스는 비만하지 않았고, 평생 흡연·음주를 하지 않았다. 요구르트를 즐겨 먹었으며 가족·친구와 꾸준히 교류하며 활발한 사회적 관계를 유지했다.

1907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태어난 브라냐스는 1915년 스페인 카탈루냐로 이주했다. 그는 두 차례 세계대전과 스페인 내전, 코로나19 팬데믹을 겪었으며 113세에 코로나19에 감염됐다가 회복했다. 지난해 117세로 별세하기 전까지 세계 최고령자였다.

연구를 이끈 마넬 에스테예르 박사는 브라냐스의 생물학적 나이가 실제보다 최소 10~15년 젊었다고 밝혔다. 그는 "보통은 나이가 들수록 병들지만 브라냐스는 예외였다"며 "좋은 유전자의 효과를 모방하는 약물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그는 "브라냐스의 부모는 좋은 유전자를 물려줬지만 우리가 부모를 선택할 수는 없다"고 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애틀 뉴스/핫이슈

한인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