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기대수명 '83.5세'…전년보다 0.8년 증가

男 80.6년·女 86.4년…남녀격차 5.9년

OECD 평균보다 男 2.2년·女 2.8년 높아

 

지난해 출생자의 기대수명은 83.5년으로 전년 대비 0.8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4일 발표한 '2023년 생명표'에 따르면 지난해 출생아(남녀 전체)의 기대수명은 83.5년을 기록해 전년 대비 0.8년 늘었다.

이에 따라 기대수명은 2022년 코로나19 여파로 인해 역대 최초로 0.9년 감소한 후 1년 만에 다시 증가세로 전환했다.

기대수명은 그 당시 연령별 사망 수준이 유지된다는 가정하에 작성된다.

지난해 남자의 기대수명은 80.6년, 여자는 86.4년으로 전년 대비 남자는 0.7년, 여자는 0.8년 증가했다. 남녀 격차는 5.9년으로 1985년(8.6년)을 정점으로 감소하는 추세다.

60세 남자의 기대여명은 23.4년, 여자의 기대여명은 28.2년이다. 전년 대비 남자는 0.7년, 여자는 0.8년 증가했다.

지난해 출생아가 향후 80세까지 생존할 확률은 남자 63.6%, 여자 81.8%다. 전년 대비 남자는 2.5%포인트(p), 여자는 1.6%p 증가했다.

2003-2023년 주요 사망원인으로 사망할 확률 추이(통계청 제공). 2024.12.4/뉴스1 2003-2023년 주요 사망원인으로 사망할 확률 추이(통계청 제공). 2024.12.4/뉴스1

지난해 출생아가 주요 사인으로 사망할 확률은 악성신생물(암) 19.1%, 폐렴과 심장 질환 10.0%, 뇌혈관 질환 6.9% 순이다.

출생아 기대수명은 암이 제거된다면 3.3년, 심장 질환이 제거된다면 1.2년, 폐렴이 제거된다면 1.0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시도별 기대수명은 서울(85.0년)과 경기(83.9년) 순으로 높고 충북(82.4년)과 전남(82.5년) 순으로 낮다. 시도 간 차이는 최대 2.6년이다.

남녀 간 기대수명 차이는 제주(8.0년)가 가장 크고 세종(4.9년)이 가장 작았다.

우리나라의 기대수명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보다 남자는 2.2년, 여자는 2.8년 높다.

남자의 기대수명이 가장 높은 국가는 스위스(82.3년)로 우리나라보다 1.7년 높다. 여자의 경우 일본(87.1년)으로 우리나라보다 0.7년 높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애틀 뉴스/핫이슈

목록
목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