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세건강] "비만으로 연간 5600조 손실…팬데믹 수준“
- 23-07-10
만성질환 치료비와 생산성 저하 포함…비만예방·치료 시급
BMI 30이상, 동반질환 있다면 수술 권해…건강보험 적용중
비만도 질환으로 생각하고 예방과 치료에 관심을 가져야한다는 경고가 잇따르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으로 세계 경제가 침체의 늪에 빠졌듯이 비만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이 막대하다는 전망도 나왔다. 의료진도 "만병의 근원이 되는 비만은 치료 방법이 다양하다"며 관심을 촉구했다.
보험연구원의 김혜란 연구원은 최근 '비만의 사회·경제적 손실'을 다룬 보고서를 통해 "(현재의) 예방과 치료 조치가 개선되지 않을 경우, 매년 비만으로 전 세계 GDP(국내총생산)의 약 3%에 해당하는 4조3200억 달러의 경제적 손실이 발생할 것"이라고 관측했다.
김 연구원은 "이는 2020년 코로나19 경제로 세계 경제가 3% 위축된 것으로 추정되는 규모와 비슷하다. 경제적 손실에는 비만 때문에 발생한 만성질환 등을 치료하는 직접적인 의료비용과 간접비용인 생산성 손실이 포함된다"고 소개했다.
구체적인 생산성 손실로는 △비만으로 인한 직원의 결근 △직장에서의 생산성 저하 △보험산업에서의 장애 보험 지급 증가 △조기 퇴직 및 조기 사망률에 의한 손실 등이 지적됐다. 2020년 기준 전 세계 인구의 7명 중 1명이 비만이었다면 2035년에는 4명 중 1명이 비만일 것으로 예상한다.
특히 몸무게를 키의 제곱으로 나눈 '체질량지수'(BMI)가 30 이상이면 고도비만으로 치료가 필요하다.
이혜준 중앙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비만클리닉 교수는 "병원까지 가야 하나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비만은 여러 치명적인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어 체계적으로 치료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
© News1 DB |
체질량 지수가 1㎏/㎡ 늘 때마다 당뇨병 발생 위험이 20%씩 높아지고 정상 체중보다 비만이면 당뇨병 발생 위험이 5~13배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비만인 사람은 정상 체중인 사람보다 허혈성 위험이 64% 더 높다는 보고도 있다.
이 교수는 "25년간 추적 연구한 결과 비만으로 인한 남성 암 사망자가 약 14%, 여성 암 사망자는 20%였다"면서 "한 추적 연구에 따르면 대장암, 간암, 담도암, 전립선암, 신장암, 갑상선유두암, 소세포폐암, 비호치킨림프종·흑색종 발생 위험이 체질량지수가 높을수록 증가했다"고 강조했다.
비만의 치료법으로는 식이요법, 운동요법 등 생활 습관 개선·치료, 약물치료, 수술치료가 있는데 비만 정도와 동반 질환 등을 확인하고 전문의 진료 하에 개인별 체중 감량 목표를 정해야 한다. 또 최근에는 다양한 약이 많이 출시돼 선택의 폭도 넓어진 편이다.
체질량지수가 35㎏/㎡ 이상이거나, 체질량지수 30㎏/㎡ 이상이면서 비만 동반 질환을 지닌 환자가 비수술적 치료로 체중 감량에 실패한 경우 수술을 고려할 수 있다. 국내에서 많이 시행되는 수술은 위에서 잘 늘어나는 위저부(위의 상부)를 제거해 음식 섭취량을 줄여주는 위소매절제술이다.
![]() |
중앙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비만클리닉의 이혜준 교수가 진료를 보고 있다(위), 병원 외과 비만대사수술클리닉의 김종원 교수(오른쪽 인물)가 수술을 하고 있다.(중앙대학교병원 제공) |
중앙대학교병원 외과 비만대사수술클리닉의 김종원 교수는 "체질량지수 35㎏/㎡ 이상이거나 30㎏/㎡ 이상이면서 고혈압, 당뇨병 등 동반 질환이 있는 경우 건강보험을 적용받아 수술할 수 있다. 고도비만은 다양한 합병증으로 사망 위험이 높고, 또 치료가 필요한 질환"이라고 설명했다.
식이요법이나 운동, 약물 등으로 체중 감량이 어려운 경우 수술을 해야 한다. 건강보험이 적용되며 국내에서 수술받는 고도비만 환자 수가 늘어나고는 있으나 아직은 국내 전체 고도비만 환자 중 0.17% 수준에 불과하다.
김 교수는 "고도비만 환자는 식이요법, 약물요법으로 치료에 조금이라도 반응하는 비율이 3% 미만에 불과해 수술이 가장 확실하고 유일한 치료법"이라며 "수술받으면 사망률이 40% 줄고 당뇨병 사망률은 92%, 심혈관질환 사망률은 59%, 암 사망률은 60%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졌다"고 전했다.
이 교수도 "수술 이후 지속적인 식이요법, 운동요법 치료 및 상담은 체중감소 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수술 이후 체중이 다시 증가하는 '리게인'(regain)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고 이를 예방·관리하는 게 중요해 다양한 협진 체계가 갖춰진 병원을 택하는 게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기사제공=뉴스1(시애틀N 제휴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한인 뉴스
- 시애틀한국교육원 또 큰일 해냈다-UW과 대학생인턴십 위한 MOU체결
- 한인 줄리 강씨, 킹카운티 이민난민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됐다
- 아시아나항공 마일리지,합병 후에도 그대로 10년 더 쓴다
- 시애틀 한인마켓 주말쇼핑정보(2025년 10월 3일~10월 9일)
- 한국문인협회 워싱턴주지부, 박노현교수 초청 문학특강 연다
- 시애틀 한인업체, 올해의 킹카운티 수출소기업상 받았다
- 한인 리아 암스트롱 장학금 올해도 16명에-23년간 54만9,000달러 전달
- 한인생활상담소 "미국 시민권 무료신청 해드립니다"
- 페더럴웨이 통합한국학교 추석 ‘한가족 한마당’ 성황리에 개최
목록시애틀 뉴스/핫이슈
한인 뉴스
- 시애틀한국교육원 또 큰일 해냈다-UW과 대학생인턴십 위한 MOU체결
- 한인 줄리 강씨, 킹카운티 이민난민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됐다
- 아시아나항공 마일리지,합병 후에도 그대로 10년 더 쓴다
- 시애틀 한인마켓 주말쇼핑정보(2025년 10월 3일~10월 9일)
- 한국문인협회 워싱턴주지부, 박노현교수 초청 문학특강 연다
- 시애틀 한인업체, 올해의 킹카운티 수출소기업상 받았다
- 한인 리아 암스트롱 장학금 올해도 16명에-23년간 54만9,000달러 전달
- 한인생활상담소 "미국 시민권 무료신청 해드립니다"
- 페더럴웨이 통합한국학교 추석 ‘한가족 한마당’ 성황리에 개최
- 시애틀통합한국학교, 송편 만들기 등 성대한 추석행사 열어
- 상담소 "10월20일부터 바뀌는 시민권시험 이것은 아셔야"
- <속보> 故이시복 목사 돕기 모금액 1만4,000달러 넘어서
- 린우드 한식당 아리랑2.0, 추석패키지 50개 한정 판매한다
- 서북미문인협회 소속 김지현씨 재외동포문학상 수필 대상
- 시애틀 한인 여대생, 미국 대통령 장학생 최종 선발 화제
- [시애틀 재테크이야기] 띠리리 리리리~~ 영구 없다
- [시애틀 수필-정동순] 썩을
- [신앙칼럼-허정덕 목사] '물 댄 동산'을 꿈꾸며
- [서북미 좋은 시-신인남] 노랑, 열매
- <속보> 故이시복 목사 돕기 모금액 1만 달러 육박
- 타코마서미사 추석차례 및 故일면스님 다례식
시애틀 뉴스
- 워싱턴주 더이상 ‘안전한 주’아니다
- 시애틀 '빈방 나눠쓰기'로 집값·홈리스 문제 풀 수 있을까
- 시애틀 여성 과학자,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했다
- 보험료 너무 비싸 시애틀 중산층도 무보험 전락
- 시애틀 편의점서 아이스크림·맥주 훔치고 개줄로 직원 폭행
- 오리건 포틀랜드 정치적 갈등에 중심에 서다
- 긱하버 보석 ‘S하우스’ 750만 달러에 매물로 나왔다
- 시애틀지역 배송업체기사가 우편배달부에 총격
- 알래스카항공, 매리너스 팬들 원정 응원 위해 특별항공편 제공
- 시애틀 최고 식당, 이젠 어떤 방향으로 가나?
- 스타벅스 시애틀명소 리저브 로스터리까지 폐점한 이유는
- 아기 둥둥 너바나 그 사진 주인공 "아동성착취" 또 패소…"음란물 아냐"
- ‘반(反) LGBTQ' 기독단체, 시애틀시와 해럴시장 상대 소송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