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층, 정상 체중이어도 허리둘레 크면 암 위험↑…복부비만 주의

고대구로병원 내분비내과 장수연 교수팀 밝혀내

BMI 높으면 암 위험 증가한단 기존 학설 뒤집어


65세 이상 고령층에서는 체중 관리보다는 복부 지방 관리를 적극적으로 하는 게 암을 예방하는 데 더 중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겉으로 보기엔 '정상 체중'이라도 복부 비만이 있으면 암 발생 위험이 커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장수연 고대구로병원 내분비내과 교수 연구팀(내분비내과 류혜진 교수, 암연구소 강민웅 연구교수)은 고령층에서 암 발생과 체질량지수(BMI) 및 허리둘레의 연관성에 대해 연구한 결과, 체질량지수(BMI)가 높을수록 암 발생 위험이 낮았고, 반대로 허리둘레가 클수록 높았다고 30일 밝혔다.


비만은 염증, 산화 스트레스, 인슐린 저항성 등을 통해 암 발생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대표적인 비만 지표인 체질량지수(BMI)와 다양한 암종의 높은 발생위험 간의 상관관계가 기존에 보고돼 왔으나 BMI는 체성분 구성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반면 허리둘레는 대사적으로 의미가 있는 복부 비만과 내장지방을 더욱 잘 반영할 수 있는 지표로 꼽힌다. 이에 따라 연구팀은 체질량지수와 허리둘레가 고령자 암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전국 단위 인구 데이터를 통해 비교 분석했다.


65~80세 한국인 24만 7000명 11년 추적…남성에서 경향 뚜렷

 

연구팀은 지난 2009년 국가건강검진을 받은 65~80세 한국인 24만 7625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코호트 연구를 진행했다. 모든 참가자는 기저에 암 병력이 없는 상태였으며, 2020년까지 추적 관찰을 통해 암 발생 여부를 확인했다.


BMI와 허리둘레는 측정값을 바탕으로 4그룹으로 나눠 각각의 카테고리별로 암 발생 위험비를 산출했다. 그 결과 평균 11.3년의 추적 기간 총 43,369건의 암이 발생했으며, 체질량지수(BMI)가 높을수록 암 발생 위험이 오히려 낮아졌다.


반면 허리둘레는 클수록 암 발생 위험이 더욱 증가하는 상반된 양상을 보였으며, 이러한 경향은 남성에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또한 정상 체중(BMI 18.5~23) 범위 내에서도 허리둘레가 높을 경우 암 위험이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노인층, 복부 지방 관리가 암 예방에 중요…관계 첫 규명

 

장수연 교수는 "겉으로 보기엔 '정상 체중'이라도 복부 비만이 있으면 암 발생 위험이 커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고령에서 BMI가 높다는 것은 단순히 체지방량이 많다는 의미가 아닐 수 있으며, 근육량이 상대적으로 유지되고 영양상태가 양호함을 반영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어 "나이가 들면 근육량이 감소하고 체지방이 복부 쪽으로 재분포되기 때문에, BMI만으로는 노인의 체성분과 대사 건강을 정확히 반영하기 어렵다"면서 "노인층에서는 적정체중 유지와 더불어 복부 비만 관리를 적극적으로 하는 게 암 예방에 중요하다"고 전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 노인을 대상으로 BMI와 허리둘레가 암 발생과 반대 방향의 관계를 맺는다는 것을 처음으로 규명했다. 기존 연구들에서는 BMI가 높을수록 암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고 보고됐으나, 이는 주로 중년층 이하를 대상으로 했던 연구였다.


장 교수는 "노인 인구에 집중한 이번 연구는 기존 학설과 대조적"이라며 "향후 근육량과 체지방 분포를 포함한 체성분 분석 후속 연구를 통해 근육량이 실제로 노인층의 암 발생에 있어 보호적인 역할을 제공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추가로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프론티어스 인 온콜로지(Frontiers in Oncology)' 최신호에 발표됐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뉴스포커스

목록
목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