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황혼이 청춘보다 많다…20대<70대 인구수 첫 역전

20대 630만명·70대 이상 654만명…통계 100년만에
출산 기피·인구감소·고령화 탓 사회구조 변화 뚜렷

20대 청년 인구가 100년 만에 처음으로 70대 이상 노인보다 적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저출산·고령화가 장기화하면서 한때 성인 세대 중 가장 많았던 20대가 이제는 가장 적은 축으로 밀려났다. 결혼과 출산을 기피해온 사회 분위기가 이런 상황을 야기한 것으로 분석된다.

12일 국가데이터처(전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등록 총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20대 인구는 630만 2000명으로 전년보다 19만 3000명 줄었다. 같은 기간 70대 이상은 654만 3000명으로 집계돼 20대보다 24만 1000명 많았다. 1925년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20대가 70대 이상보다 적어진 것이다.

20대 인구는 2020년 703만 명을 정점으로 매년 14만~21만 명씩 감소하고 있다. 지난해 감소 폭은 10세 미만(-19만 2000명), 40대(-16만 9000명)보다도 커 전 연령대 중 가장 두드러졌다. 연령대별 규모는 50대 871만 3000명으로 최다였고 40대 780만 9000명, 60대 779만 1000명이 뒤를 이었다. 약 30년 전 20대가 가장 많던 시기와 대조적이다.

노동시장 지표도 악화했다. 지난 8월 20대 고용률은 60.5%로 전년 대비 1.2%포인트 하락했고, 실업률은 5.0%로 3년 만에 가장 높았다. 대기업이 신입 대신 경력 채용을 확대하면서 사회에 막 진입한 20대 일자리가 줄어든 영향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매출 상위 500대 기업의 대졸 신입 채용에서 경력직 비중은 28.1%로 전년보다 2.3%포인트 늘었다.

제조업 부진과 건설 경기 침체로 양질의 일자리 자체가 부족한 점이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전문가들은 20대 인구 감소와 고용난이 결혼·출산 기피로 이어져 인구 구조 악화를 가속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뉴스포커스

목록
목록

한인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