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자원 화재 중단 647개 서비스 중 모바일신분증 등 30개 복구

5층 외 전산실 순차 가동…네트워크·보안 정상 작동
보건복지·행정포털 등 주요 서비스 정상화

행정안전부는 28일 오후 10시 기준,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중단됐던 647개 행정정보시스템 중 모바일신분증, 우체국 금융, 보건복지 관련 시스템 등 30개를 우선 복구했다고 밝혔다.

복구는 국민 안전과 재산, 경제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시스템을 최우선으로, 시스템 중요도 등급제에 따라 순차적으로 진행 중이다.

이번에 복구된 서비스에는 행정안전부 모바일신분증과 행정포털 시스템이 포함된다. 여기에 문서유통시스템, 복합인증시스템, 모바일 메시지 시스템, GIS 기반 통합시스템 등 행정 관련 주요 서비스도 정상화됐다.

보건복지부는 보건의료빅데이터시스템, 노인맞춤형돌봄시스템, 취약노인지원시스템을 복구해 사회복지 관련 업무가 정상적으로 처리될 수 있도록 했다.

또 우체국 금융 서비스도 복구됐다. 인터넷 예금·스마트 예금, 금융상품몰, 인터넷 보험·스마트 보험 등 온라인 금융거래가 가능해졌다.

이 밖에도 국무총리실 국정관리시스템, 기획재정부 디지털예산회계시스템(디브레인), 환경부 매출권 등록·상세등록부 시스템, 관세청 대표 홈페이지·내부 정보 시스템·국회 답변 시스템, 통계청 통계 데이터센터, 해양수산부 해운항만물류 정보시스템·해양안전종합정보, 금융위원회 FIU 심사분석·홈페이지 서비스도 정상화됐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11시 25분 기준, 네트워크와 보안장비는 가동을 완료했으며, 화재로 전소된 배터리 384개는 전날 모두 반출됐다. 시스템 운영에 필수적인 항온항습기는 28일 오전 5시 30분 복구를 완료, 정상 가동 중이다.

앞서 지난 26일 대전 유성구 국정자원에서 리튬배터리 이전 작업 중 화재가 발생, 전산장비 740대와 배터리 384대가 전소했다. 이로 인해 647개 행정정보시스템이 가동을 중단했으며, 이 중 436개는 국민이 직접 이용하는 인터넷망 서비스, 211개는 행정 내부망이었다.

행정안전부는 당초 화재로 직접 피해를 입은 시스템을 70개로 발표했으나, 정밀 점검 결과 96개로 재집계됐다. 이에 따라 27일 오전 8시 10분 위기 경보 '심각' 단계를 발령하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가동했다.

윤호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은 "국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투명하게 상황을 공유하고, 업무 연속성 유지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뉴스포커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