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스닥 2% 급락, 한 달 만에 최대 낙폭…월가 거물 잇단 조정 경고[뉴욕마감]

AI 열풍 속 밸류에이션 부담…팔란티어, 실적 호조에도 8% 급락

 

4일(현지시간) 뉴욕 증시는 주요 은행의 최고경영자(CEO)들의 시장 조정 경고와 기술주 중심의 거품 우려 속에 큰 폭으로 후퇴했다.

이날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251.44포인트(0.53%) 하락한 4만7085.24에 마감했다. S&P 500 지수는 80.42포인트(1.17%) 하락한 6771.55를 기록했고, 나스닥 종합지수는 486.09포인트(2.04%) 하락한 2만3348.64에 거래를 마쳤다.

S&P 500과 나스닥 종합지수는 10월 10일 이후 가장 큰 하루 낙폭을 기록했다. 특히 기술주가 나스닥 지수 하락을 주도했으며, 인공지능(AI) 관련 대형 기술주로 불리는 '매그니피센트 세븐' 중 6개 종목이 하락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4.0% 하락했다.

모건스탠리와 골드만삭스의 CEO들은 홍콩에서 열린 글로벌 금융리더 투자 서밋에서 과도한 밸류에이션에 따른 시장 조정 가능성을 제시하면 투자자들에게 경계심을 촉구했다.

모건스탠리의 테드 픽 CEO는 "거시경제 충격이 아닌 자연스러운 흐름에서 10~15%의 조정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오히려 시장에 긍정적일 수 있다"고 밝혔다.

골드만삭스의 데이비드 솔로몬 CEO 역시 "시장 사이클은 일정 기간 상승하지만, 예상하지 못한 요인이 투자 심리를 바꾸고 조정을 유발할 수 있다"고 말했다.

지난달 JP모건체이스의 제이미 다이먼 CEO 역시 향후 6개월에서 2년 사이 뉴욕 증시에 큰 폭의 조정이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그는 지정학적 긴장 등 다양한 리스크 요인이 존재한다고 지적했다.

호라이즌 인베스트먼트 서비스의 CEO 척 칼슨은 로이터에 "투자자들이 최근 들어 밸류에이션에 대해 더 우려하고 있다"며 "많은 기업들의 밸류에이션이 과도하게 높고, 실적은 나쁘지 않지만 뛰어나지도 않다. 이는 차익 실현의 계기가 된다"고 분석했다.

현재 미국 연방정부는 의회의 예산안 합의 실패로 인해 셧다운 상태에 있으며, 35일이라는 역대 최장 기록과 타이를 이루었다. 공식적인 경제 지표 발표가 중단되면서, 투자자들은 ADP의 민간 고용 보고서와 연방준비제도(Fed) 관계자들의 발언을 통해 향후 통화정책 방향을 가늠하고 있다.

S&P 500의 11개 주요 업종 중 기술주는 2.3% 하락하며 가장 큰 낙폭을 기록했고, 금융주는 상승세를 보였다.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는 4분기 실적 전망이 시장 기대치를 웃돌지만 주가는 8.0% 급락했다. 팔란티어는 올해 들어 152% 넘는 오름세였다.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스타 헤지펀드 매니저 마이클 버리가 팔란티어에 대한 약세 베팅을 공개하며 매도세가 심했다.

버리는 2015년 영화 빅 쇼트에서 서브프라임 모기지 시장 붕괴를 예측한 실제 인물로 팔란티어에 대한 공매도 포지션은 9억1200만달러에 달했다고 FT는 미국 규제당국 서류를 인용해, 보도했다. 버리는 또한 인공지능 칩 제조사 엔비디아에 대한 소규모 매도 포지션도 보유했다.

우버는 분기 실적이 시장 예상치를 밑돌면서 5.1% 하락했고, 음원업체 스포티파이와 전자상거래업체 쇼피파이는 각각 2.3%, 6.9% 급락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애틀 뉴스/핫이슈

목록
목록

한인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