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주 90대부부, 의료적 존엄사로 손잡고 떠났다

 미국 워싱턴주에서 한 90대 노부부가 같은 날 생을 마감한 사연이 뒤늦게 알려져 화제를 모으고 있다.

미국 연예 매체 피플에 따르면 은퇴 후 워싱턴주로 이사해 거주하던 드루스 뉴먼(95·남)과 에바 뉴먼(92·여) 부부는 지난 2021년 8월 13일 의료진의 조력을 받아 스스로 생을 마감했다. 이 과정에서 딸 코린 그레고리 샤프(61)는 부모의 사망 과정 전반을 도왔다.

한차례 심장마비를 겪고 스텐트 수술을 받았던 아내 에바는 2018년 5월, 대동맥판막협착증 진단을 받았다. 의료진이 수술 가능성을 제시했으나, 에바는 연명 가능성이 불확실하다는 이유로 치료를 거부했다.

에바는 "자연스럽게 죽음을 맞이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히고 투병을 이어왔다. 그러나 2021년 4월 한밤중 화장실을 가다 낙상 사고를 당해 상태가 급격히 악화했다. 이에 에바는 호스피스 병동에 들어가면서 '의료적 조력 존엄사'(MAID·Medical Assistance In Dying)를 신청했다.

설상가상으로 남편 드루스는 아내가 사고를 당한 지 일주일 만에 뇌졸중 증상을 보였다. 이때 드루스는 "아내가 먼저 가면 나는 어떻게 살아야 하나"라고 절망했고, 결국 뇌졸중이 회복됐음에도 아내와 함께 존엄사를 신청했다. 드루스는 뇌졸중 이력을 바탕으로 존엄사 신청을 성공적으로 승인받았다.

드루스와 에바 뉴먼. (피플 갈무리) 드루스와 에바 뉴먼. (피플 갈무리)

동반 존엄사가 승인된 부부는 사망 날짜까지 직접 선택했다. 이들은 남은 가족들을 위해 생일이나 가족 기념일, 명절은 피했고 2021년 8월 13일 금요일로 결정했다.

부부는 사망을 결정한 뒤 마지막 일주일은 딸 코린과 함께 보냈다. 코린은 사망 전날 부모님을 위한 저녁을 준비했다며 "우리는 '최후의 만찬' 대신 '최후의 행복한 시간'이라고 했다"고 회상했다.

사망 당일, 부부는 각자 침대에 앉아 손을 잡고 이야기를 나눴다. 당시 방 안에는 음악이 흘러나왔고, 부부는 약물을 복용한 뒤 와인으로 마지막 건배를 나눴다. 약 10분 후 잠든 부부는 한 시간도 지나지 않아 세상을 떠났다.

부모의 선택을 존중한 딸은 "엄마는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았고, 아빠는 항상 죽음을 두려워했다. 근데 엄마 없이 혼자 남겨진 삶을 더 많이 두려워했다"라며 "결국 두 사람은 두려움을 함께 이겨냈다. 그것은 두려움이 아니라 사랑의 완성이었다"고 말했다.

딸은 부모의 선택을 공개한 이유에 대해 "우리는 죽음에 대해 말해야 한다. 죽음은 우리에게 일어날 것이고, 죽음을 두려워한다고 해서 사라지는 게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가장 사랑하는 사람들의 고통을 덜어줄 수 없다는 게 모순 아닌가. 떠날 때가 왔다면,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워싱턴주를 비롯해 오리건, 캘리포니아 등 미국 내 10개 주와 워싱턴DC에서는 의료적 존엄사가 합법이다. 단, 환자 본인의 의사 확인과 의학적 심사가 필요하다.

한국에서는 2018년 '연명의료결정법' 시행으로 연명 치료 중단이 허용되고 있지만, 의료진의 도움을 받아 스스로 생을 마감하는 조력 존엄사는 아직 법적으로 금지돼 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애틀 뉴스/핫이슈

목록
목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