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美아이오와주 원전 다시 돌린다…"AI 인프라 전력 공급"

2029년 전력공급 예정…신규 원전 개발도 추진

 

미국의 정보기술(IT) 대기업 구글이 27일(현지시간) 미국 전력회사 넥스트에라에너지와 전력 구매 계약을 맺고 미국 아이오와주 원자력 발전소를 재가동해 인공지능(AI) 인프라에 전력을 공급하는 계획을 발표했다.

AFP통신, 블룸버그 등에 따르면 구글과 넥스트에라에너지는 공동 보도자료를 통해 "아이오와주에서 성장하는 구글의 클라우드와 AI 인프라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돕기 위해" 지난 2020년 폐쇄된 듀안 아놀드 에너지 센터가 2029년 전력 공급을 재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계약에 따르면 구글은 시설이 재가동된 뒤 25년간 전력을 구매한다. 발전소는 100% 넥스트에라에너지가 소유하게 되며, 현재 회사는 미소유 중인 지분을 구매하기 위해 소수지분 소유주들과 협상 중이다.

AFP통신에 따르면 공동 보도자료는 원자력을 '탄소 없는 전력원'이라 부르며, "미국이 AI가 주도하는 혁신과 기회의 새 시대로 접어듦에 따라, 이 전략적 협력은 구글이 책임감 있게 사업적 필요(business needs)를 성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전했다.

구글의 모기업인 알파벳 최고재무책임자(CIO) 루스 포랏은 "AI 기반 경제를 뒷받침할 일자리를 창출하는 동시에 안정적이고 깨끗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전국적으로 필요한 투자의 모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구글과 넥스트에라는 신규 원자력발전소 개발 사업도 추진하기로 합의했다. 넥스트에라는 현재 미국 전역에서 구글과 함께 약 3기가와트(GW) 규모의 에너지 프로젝트를 완료했다.

지난 4월 국제에너지기구(IEA)는 고성능 AI 가동에 필수적인 데이터센터의 전력 소비량이 2030년까지 두 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전력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자 구글을 비롯한 미국 빅테크들은 원자력을 활용한 전력 확보에 나서고 있다.

지난해 9월 전력회사 콘스텔레이션이 마이크로소프트와 20년 전력 공급 계약을 맺고 1979년 미 역사상 최악의 원전 사고가 발생한 펜실베이니아주 스리마일섬 원자력발전소를 재가동하기로 한 바 있다.

지난 6월에는 페이스북의 모회사인 메타가 미국 원전 기업 콘스텔레이션 에너지와 20년간의 원자력 에너지 구매 계약을 맺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애틀 뉴스/핫이슈

목록
목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