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셧다운 장기화에 경제 충격 커져…"GDP 주당 최대 152억달러 손실"

NYT "연방 서비스 이외 경제활동 부문서 손실 더 커질 우려"

노동·물가 핵심 통계 발표 지연에 통화정책도 '안갯속'

 

21일(현지시간)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일시적 업무정지)이 3주째에 접어들면서 경제적 충격도 날로 커지고 있다.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경제학자들은 셧다운 기간이 일주일 늘어날 때마다 미국의 연간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0.1~0.2%포인트(P) 감소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는 연방 직원 근로 시간을 기준으로 주당 76억~152억 달러(약 10조~22조 원) 규모에 해당한다.

미 경제분석국 추계에 따르면 역대 최장기간(34일)을 기록한 2018년 셧다운 당시 주당 경제성장률 감소 폭은 0.1%P 미만 수준이었다.

연방 서비스뿐만 아니라 타 부문 경제활동까지 범위를 확대할 경우 손실은 더 커질 수 있다.

비자 심사가 중단되면서 연방 정부 비자 업무를 수행하던 계약 업체, 외국인 근로자에 의존하는 농가 등도 함께 업무가 중단된 상황이다.

또 저소득 농가와 재난 취약지역을 대상으로 연방기관 대출도 묶여 있다.

온라인 대출 플랫폼 비즈투크레딧의 로히트 아로라 최고경영자(CEO)는 "기업들이 지금은 투자나 채용 확대를 자제하려 할 것"이라며 "그것만으로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신용카드를 먼저 쓰게 되고, 일부 고객은 더 높은 금리의 차입을 떠안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노동·물가 관련 핵심 통계도 나오지 않고 있어 통화정책 당국의 금리 결정 시점도 안갯속이다.

여기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대규모 연방 인력 감축으로 푸드뱅크를 찾는 사람도 늘고 있다. 연방 공무원들로부터 합동 모금 캠페인을 통해 기부를 받아 왔던 캐피털 에어리어 푸드뱅크는 최근 무급 근로자들을 위한 추가 배급소를 열었다.

이외에도 국가기상청과 연방재난관리청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허리케인이 밀어닥친다면 대규모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미국의 허리케인 시즌은 매년 6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로, 늦여름과 초가을에 허리케인의 활동이 특히 활발하다.

이에 따라 기업들이 관리해 오던 변수가 통상 범위를 넘어설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경영 컨설팅사 BSI의 컨설턴트 데이비드 번스타인은 "(변수의) 영향권을 넓혀야 한다. 통제할 수 없는 일들이 많아지고 있기 때문인데, (셧다운의) 연쇄적 파급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보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애틀 뉴스/핫이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