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몸 문신에 여권 수십 장 와르르”…캄보디아서 붙잡힌 한국인 범죄조직의 실체

캄보디아 프놈펜을 거점으로 온라인 사기 범행을 벌이던 한국인 범죄 조직이 현지 경찰에 붙잡힌 사실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최근 캄보디아에서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납치·감금 사건이 잇따르는 가운데 반대로 한국인이 자국민을 상대로 온라인 범죄를 저지르는 사례도 끊이지 않고 있다.

17일(현지시간) 캄보디아 현지 매체 프레시뉴스 등에 따르면 지난달 15일 캄보디아 시(Phnom Penh) 정부와 경찰이 합동 단속을 벌여 프놈펜 센속 지구의 한 콘도에서 한국인 33명(여성 5명)을 체포했다.

이들은 온라인 사기 및 불법 체류 혐의를 받고 있으며 네팔인 1명, 방글라데시인 1명, 캄보디아 현지인 13명(여성 5명)도 현장에서 함께 체포됐다.

캄보디아 합동수사대는 체포된 한국인 중 3명을 주범으로 판단해 구속기소했다. 나머지 45명은 주범 3명에게 협박·강요를 받아 사기 범행에 가담한 피해자로 분류됐다.

캄보디아 당국은 피의자 및 피해자 신분의 한국인 전원을 해외로 추방하고, 현장에서 압수된 컴퓨터 60대, 휴대전화 3대, 여권 35매 등 증거물을 확보했다.

비슷한 사건은 지난 5월에도 있었다. 당시 캄보디아 시아누크빌 지역에서는 한국인 15명으로 구성된 또 다른 온라인 사기 조직이 보이스피싱 등 범행을 저지르다 적발됐다. 이들은 2~3월부터 군부대와 공공기관을 사칭해 국내 자영업자를 대상으로 사기를 벌인 것으로 드러났다.

현지 외교 소식통에 따르면 캄보디아 내에서 활동하는 한국인 범죄조직 규모는 약 1000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이 가운데 상당수는 '고수익 아르바이트'를 미끼로 유인된 피해자이지만, 일부 조직 간부는 월 수백만 원의 수익과 성과급 형태의 보수를 받는 등 사실상 범죄 수익 구조에 가담한 것으로 알려졌다.

심지어 가족이나 지인의 신고로 소재가 파악돼 본국 송환 조치를 받았음에도 이후 다시 캄보디아로 재입국해 온라인 범죄에 재참여한 사례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위성락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은 이달 15일 용산 대통령실 간담회에서 "국내 (한국인들 중) 캄보디아 스캠 산업에 유인될 소지가 여전히 남아있다. 심지어는 대사관에서 도움을 줘서 (한국으로) 돌아온 사람 중 캄보디아에 재입국해서 온라인 스캠을 하는 경우도 확인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자발적으로 고수익 일자리에 현혹돼 캄보디아를 찾는 일을 막는 게 필수적"이라며 "범부처 차원에서 엄중한 처벌과 예방하는 것도 적극 기울일 예정"이라고 말했다.

위 실장은 이어 "굉장히 여러 측면이 복합적으로 돼 있는 사안"이라며 "피해자와 (사건) 연루자 등 이분법으로 구분할 수 없을 것"라고 강조했다.

한편 캄보디아에 구금된 한국인 60여명을 국내로 송환하기 위한 전세기가 17일 저녁 인천국제공항에서 출발했다. 대한항공 전세기 KE9689편은 오후 7시 25분께 경찰 인력을 태우고 프놈펜으로 향했으며 송환 대상자들은 18일 오전 국내 공항에 도착한 뒤 관할 경찰서로 압송돼 범죄 혐의점에 대해 수사를 받게 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시애틀 뉴스/핫이슈

목록
목록
`